바울 2

블로흐: 죽은 뒤에 누구와 대화를 나누고 싶은가? (3)

5. 셋째로 헤겔과 대화를 나누고 싶다. 마지막으로 헤겔과 대화를 나누고 싶습니다. 세계의 운동을 뜻한다고 하는 원의 둥근 움직임은 어떻게 이해되는가요? 헤겔은 세계의 변화를 정신의 원 그리기라고 정의 내렸습니다. 다시 말해서 명제는 반대 명제를 거쳐 종합의 단계로 향하는데, 결국 맨 처음의 출발점으로 돌아온다고 합니다. 이러한 변증법적 움직임에 의하면 하나의 명제는 결국 어떤 더 높은, 더 구체적인 단계로서의 명제로 환원된다는 것이지요. 이 경우 나타나는 것은 비유적으로 말해서 마치 물이 폭포수처럼 아래로 강하게 떨어지는 경우만은 아닙니다. 헤겔의 변증법에서 모든 현상은 모순과 결착되어 있는 폭포와 같은 무엇으로 나타날 뿐 아니라, 헤겔 스스로 말한 바 있듯이 마치 굴을 헤집는 두더지의 행동처럼 출현하..

30 bloch 대화 2021.11.08

에른스트 블로흐: '저항과 반역의 기독교' 내용 소개 (4)

V. 카이사르냐, 그리스도냐? 25. 우리 인간은 얼마나 끓어오르는 존재인가? (짤막한 단상) 26. 온화함 그리고 “그의 노여움의 빛” (윌리엄 블레이크) (짤막한 단상) 27. 야훼 신 내부에 자리한 예수 (1) 주에 대한 두려움의 반대급부로서의 기쁨의 전언, (1985년에 간행된 블로흐의 『저항과 반역의 기독교』문고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조만간 오실 분을 위한 세례자.”) (2) 주에 대한 두려움의 반대급부로서의 기쁨의 전언, 야훼 신 내부에 자리한 예수, (이 장에서 블로흐는 신약성서의 사대 복음을 바탕으로 묵시록주의자 예수의 종말론, 사회 개혁을 위한 의향, 궁핍함과 억압을 떨친 새로운 영겁의 시간 등을 거론하고 있다.) (3) 복음서 속에 나타난 도덕과 종말론의 조명 (이 장에서 블..

27 Bloch 저술 2020.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