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3. 억압의 사회학적 기능: 둘째로 라이히는 성의 억압이 비민주주의의 권위적 인간형을 양산한다는 가설을 내세웠습니다. 그렇다면 성의 억압이 비민주주의의 인간형이 양산된다는 것과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비유가 적절하지는 않겠지만, 권위적 가장과 그의 아내 그리고 자식으로 구성된 미국의 전형적인 가정을 상정해 봅시다. 그게 아니라면, 하인리히만 Heinrich Mann의 『신하』를 예로 들어봅시다. 주인공, 디데리히 헤슬링은 전형적 시민 가정에서 자란 젊은이입니다. 그는 어머니를 마음속 깊이 사랑하지만, 자신의 사랑을 실천에 옮길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사랑하는 임은 바로 자신의 어머니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심리학적으로 고찰할 때 아버지가 마치 신화 속의 용처럼 자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