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규 3

(명저 소개) 김무규의 영상 미디어의 이해

오랫동안 영화 이론을 연구해온 부경대 김무규 교수님의 책영상 미디어의 이해가 한울아카데미 출판사에서 간행되었습니다.  기술적 원리에 중점을 두고 미학적 관점에서 영상 미디어를 분석한 책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면서 다음 두 가지 사항을 가장 크게 염두에 두었다고 밝힌다. 첫째, 영상을 창출하는 기술적 원리이다. 한 예로, 영화가 서사를 내용으로 취하고 텔레비전이 프로그램을 내용으로 취하게 된 것은 두 영상 미디어의 기술적 원리가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같은 맥락에서 디지털 영상은 디지털의 원리로 인해 주로 상호작용적 콘텐츠를 내용으로 취한다. 이처럼 기술적 관점을 중요시하는 견해를 기술결정론 또는 미디어 결정론이라고 한다.둘째, 영상 미디어를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즉, 영상 미디어가 생산하는 내용물..

1 알림 (명저) 2025.01.05

서로박: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불의와 금기에 완강하게 저항하는 영화감독, 그는 다혈질에다, 공격적이며, 자기 파괴적인 인성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극단을 추구하는 그는 타협을 멀리하고, 놀라운 예술작품을 탄생하게 하였으며, 그의 삶에 있어서도 열광과 분노를 추적하게 하였습니다. 그의 영화가 억압 그리고 절망을 주제로 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Rainer Werner Fassbinder, 1945 - 1982). 마흔도 되지 않은 나이에 유명을 달리한 독일의 영화감독은 한국의 가수 GOD의 김태우를 많이 닮았습니다. ㅎㅎㅎ   그는 의사인 아버지와 번역가로 활동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나이 6세가 되었을 때 부모는 이혼하였으므로, 1951년부터 어머니에 의해 양육 받았습니다. ..

16 독일 영화 2024.01.08

조경식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조경식 박사님 (1958 - 2017)이 10월 29일 소천하였습니다. 조 선생님은 쾰른 대학교에서 문학 이론, 미학 등을 공부했는데, 90년대 초에 쾰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셨습니다. 그분의 박사학위 지도교수는 빌헬름 포스캄프 교수였는데, 나의 박사학위 지도 교수이기도 합니다. 조 선생님은 한신대학교에서도 강의를 맡으셨으며,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을 혼자서 번역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실러의 미학 연구, 니클라스 루만의 시스템 이론 등을 꿰뚫고 계셨습니다. 나는 2006년도에 조경식, 권선형, 김영목 그리고 김무규 선생님과 함께 "기억의 매체들과 문화의 전승/재구성. 상호텍스트, 영화, 역사, 연극을 통해 본 기억 매커니즘에 관한 문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습니..

1 알림 (명저) 201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