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422

(단상. 222) 희망의 원리 일어판

『희망의 원리』 일어판: 최근에 일본의 백수사 白水社라는 출판사는 『희망의 원리』를 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책은 제, 2권, 3권 그리고 5권입니다. 목차를 읽어보니, 내가 번역한 책의 목차와 거의 동일한 게 아니겠습니까? 그게 일본어 중역본인지는 직접 확인해보지 못했습니다. 이 문제는 언젠가 뜻있는 후학에 의해서 밝혀지게 되겠지요. 확실한 것은 일본어판 『희망의 원리』가 간행된 데에 나의 번역서가 도움이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내 마음속에 즐거움과 씁쓸함이 교차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자꾸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인들의 얼굴이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다케시마는 동해에 있는 섬이 아니라, 일본 열도로부터 남쪽에 위치하는 섬이 아닌가요?

3 내 단상 2014.03.01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5)

III 계몽된 낭만적인 안락사 (1) 강한 정신으로서의 자유 정신, (2) 반대로 향하는 횃불 그리고 새로 불붙는 횃불을 든 청년, (3) 우주 속으로의 해체, 자연으로 향하는 죽음의 회귀 (4) 빙하, 어머니인 흙 그리고 세계 정신 IV 그 밖의 세속화된 대립된 면모, 니힐리즘, 인류의 집 (1) 무 (無)에다 계속 덧칠하기, (2) 신앙의 도움으로 죽음을 억압하는 네 가지 부호 (3) 작품에 나타난 은유적 불멸 (4) 비극 작품에 나타난 “끌”로서의 죽음 (5) 사회주의 의식 속으로 사라진 치명적인 무 V 삶에 대한 욕망과 모든 사물 속에 담긴 단편 (斷篇)들 (1) 죽음을 연구하기 위한 여행 (2) “거기 있지 않은 존재”로서의 순간: 죽음으로 향하는 바깥 영역의 특성 53. 별자리 신화, 엑소더스..

27 Bloch 저술 2014.02.13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4)

42. 여덟 시간의 날, 평화로운 세계, 휴식과 여가 (원문 1039 쪽) (1) 굶주림의 채찍 (2) 부르주아의 요새로부터 (3) 선행을 통한 많은 유화책 (4) 시민들의 애국심과 평화 (5) 기술의 성숙; 국가 자본주의와 국가 사회주의; 10월 혁명 (6) 자유에 대한 현혹: 생업을 위한 단련 (7) 오래 전부터 남아온, 부패한, 그래도 희망이 담긴 여가 활용: 목마, 민중 축제, 원형 극장 (8) 여가의 주위 환경: 이상적인 “별장” (Buen Retiro) 그리고 전원적 요소 (9) 필수 불가결한, 그러나 반쯤 연구된 목표로서의 여가 제 5장: (동일성) 성취된 순간을 갈구하는 상: 윤리, 음악, 죽음에 관한 그림들, 종교, 동방의 나라 자연, 최상의 재화 43. 그 자체 순수함 속에 있지 않은 ..

27 Bloch 저술 2014.02.13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3)

37. 인간의 의지와 자연, 기술 유토피아 (원문 729 쪽) I. 마력이 지배하던 과거 (1) 궁핍함으로 치닫다 (2) 불 (火)과 새로운 무장 (武裝) (3) 망상과 알라딘의 동화 (4) "뮈스토스 교수"와 그의 발명 (5) 안드레에의 "1459년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처의 화학의 결혼" (5) 다시 연금술에 관해서: 특수한 물질의 변화 (mutatio specierum) [무기질 유형의 변화]와 부란용 (孵卵用) 난로 (6) 바로크 시대의 불규칙적 발명 그리고 비례적 특성 (7) 베이컨의 “발명 기술 (Ars inveniendi)”, 룰루스 (Lullus)의 기술적 계승 (8) "새로운 아틀Nova Atlantis)", 유토피아의 실험실 II. 반 유클리드적 현재와 미래, 기술을 연결시키는 문제 (1..

27 Bloch 저술 2014.02.13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2)

20. 요약: 미래지향적 특성과 그 극점: 어두운 순간 - 개방적인 적합성 (원문 334쪽) (1) 맥박과 생기 있는 어두움 (2) 가능한 전진을 위한 장소 (3) 상류와 하류: 절대적인 질문으로서의 놀라움 (4) 재론: 충만한 삶의 순간의 어두움; “오늘을 붙잡아라 (Carpe diem)” (5) 충만한 삶의 순간의 어두움, 속편: 앞에 놓여진 장소, 해로운 공간, 성취의 우울, 스스로의 중개 작업 (6) 불안과 행복의 형체 속의 절대적 질문으로서의 놀라움, 가장 유토피아적인 원형: 최상의 선 (善) (7) 근원 속의 “없음”, 역사 속의 “아직 없음”, 마지막의 “없는 것” 혹은 “모든 것” (8) 유토피아는 결코 지속적인 상태가 아니다. 그럼에도 진정한 것으로 그리고 진정한 현재로서의 “오늘을 붙잡..

27 Bloch 저술 2014.02.13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1)

목 차 서 문 제 1장: (보고) 작은 낮꿈들 1. 우리는 빈손으로 시작한다. (원문 21쪽) 2. 더 많은 것들을 맛보려 한다. (원문 21쪽) 3. 매일 공상에 잠기며 (원문 21쪽) 4. 은폐와 아름다운 낯설음 (원문 22쪽) (1) 자신을 감추기 (2) 도중에 안주하기 5. 도피와 승리자의 귀환 (원문 24쪽) (1) 바다로 향하여 (2) 번쩍이는 면사포 6. 성숙된 시기의 갈망과 그 상 (像)들 (원문 30쪽) (1) 활기 없는 말 (馬)들 (2) 밤마다 장검을 갈면서 (3) 마지막 순간에 (4) 어떤 유희의 새로운 발명 (5) 친절을 베풀 기회 7. 나이든 뒤에 남아있는 갈망 (원문 37쪽) (1) 포도주와 돈주머니 (2) 다시 떠오르는 청춘, 소득에 대한 갈망 (3) 저녁과 식사 8. 전환의..

27 Bloch 저술 2014.01.05

서로박: (5) 모데나의 생태심리학

(앞에서 계속됩니다.) 11. 에로스 센터의 시설: 이러한 거주 공동체는 도시 전체에 확산되어 있는데, 서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도시에는 거주 공동체들과 상호 연결된 에로스 센터가 자리하는데, 이곳에서는 정기적으로 문화 예술운동 그리고 스포츠 등과 같은 행사가 개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은 노동이 끝난 뒤에 에로스 센터에 모여서 식사한 다음에 사우나를 즐길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고립된 방들이 비치되어 있어서 누구든 간에 두 사람씩 그 방에 들어가서 사랑을 나눌 수 있습니다. 그밖에 에로스 센터에서는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심리 치료사가 근무하는데, 이들은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사람들 혹은 성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조언을 행하며, 이들이 원할 경우 실질적인 ..

5 사회심리론 2013.12.19

서로박: (4) 모데나의 생태심리학

(앞에서 계속됩니다.) 8. 에로스의 유토피아: 마지막으로 에밀로 모데나는 “에로스의 유토피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합니다. 자아의 자유로운 사랑의 삶은 작은 그룹에서 실천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모데나는 말리노프스키 내지 이전의 생물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인, 빌헬름 라이히의 이론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말리노프스키는 1929년 말레이시아의 북서부 제도에서 살아가는 원주민들의 성생활을 추적하여 이를 서술한 바 있습니다. 원주민들의 젊은 남녀는 집단적으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데, 이러한 모계 중심의 사회 형태는 학문적 연구의 열정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젊은이들의 집단 공동체는 현대의 혼전 동거의 방식과 다를 바 없습니다. 에밀리오 모데나는 자신의 고유한 문학 유토피..

5 사회심리론 2013.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