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Bloch 저술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1)

필자 (匹子) 2014. 1. 5. 11:49

목 차

 

 

 

서 문

 

제 1장: (보고) 작은 낮꿈들

 

1. 우리는 빈손으로 시작한다. (원문 21쪽)

 

2. 더 많은 것들을 맛보려 한다. (원문 21쪽)

 

3. 매일 공상에 잠기며 (원문 21쪽)

 

4. 은폐와 아름다운 낯설음 (원문 22쪽)

 

(1) 자신을 감추기 (2) 도중에 안주하기

 

5. 도피와 승리자의 귀환 (원문 24쪽)

 

(1) 바다로 향하여 (2) 번쩍이는 면사포

 

6. 성숙된 시기의 갈망과 그 상 (像)들 (원문 30쪽)

 

(1) 활기 없는 말 (馬)들 (2) 밤마다 장검을 갈면서 (3) 마지막 순간에 (4) 어떤 유희의 새로운 발명 (5) 친절을 베풀 기회

 

7. 나이든 뒤에 남아있는 갈망 (원문 37쪽)

 

(1) 포도주와 돈주머니 (2) 다시 떠오르는 청춘, 소득에 대한 갈망 (3) 저녁과 식사

 

8. 전환의 표시 (원문 44쪽)

 

 

 

제 2 장 (기초적 논의) 선취하는 의식

 

9. 열망으로서 진행되는 것 (원문 49쪽)

 

10. 결코 포만해지지 않는 순수한 추구와 갈망 (원문 49쪽)

 

11. 넓은 범위에서의 충동적 존재인 인간 (원문 52쪽)

 

(1) 개별적 육체 (2) 육체 없이는 충동도 없다 (3) 바뀌는 정열

 

12. 인간의 기본적 충동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들 (원문 55쪽)

 

(1) 성 충동 (2) 자아 충동과 억압 (3) 억압, 콤플렉스, 무의식 그리고 승화 (4) 권력 충동, 도취 충동, 집단적 무의식 (5) “에로스”와 원형들

 

13. 모든 기본적 충동의 역사적 한계; 자아 관심사의 다른 상황들; 충만한 기대감의 정서들 (원문 71쪽)

 

(1) 긴급한 욕구 (2) 가장 신뢰할만한 기본적 충동: 자기 보존 (3) 자기 보존 충동을 포함한 제반 충동의 역사적 변모 (4) 정서의 움직임과 자아 상태; 기대 감동으로서의 (특히 희망의) 욕망 (appetitus) (5) 앞으로 향하는 자아 확장의 충동, 행하고 있는 기대

 

14. 밤꿈에 대한 낮꿈의 기본적 차이. 밤꿈 속에 은폐된 오래된 갈망 성취, 낮의 환상 속에 담긴 동화적 요소와 선취의 요소 (원문 86쪽)

 

(1) 꿈꾸려는 경향 (2) 갈망의 실현으로서의 꿈들 (3) 두려움의 꿈과 욕망 성취, (4) 핵심적 문제: 낮꿈은 밤꿈의 전 단계가 아니다 (5) 낮꿈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성격: 자유로운 운행과 보존된 자아 (6) 낮꿈의 세 번째 성격: 세상의 개혁 (7) 낮꿈의 네 번째 성격: 끝으로 향하는 운행 (8) 밤꿈과 낮꿈 사이의 상호 유희 내지는 용해 (9) 다시 꿈에 대한 애착: 낮꿈 매개체로서의 “기분” (10) 다시 기대 정서들 (두려움, 공포, 놀라움, 절망, 희망, 확신) 그리고 깨어있는 꿈

 

15.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의 발견, 혹은 앞으로 향한 여명의 발견. 새로운 의식 유형 내지는 새로움의 의식 유형으로서의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 청춘, 전환 시대, 창조성, 유토피아 기능의 개념, 의식 유형의 만남: 관심사, 이데올로기, 원형, 이상, 알레고리, 상징들 (원문 129 쪽)

 

(1) 의식의 두 가장자리 (2) 전의식 (前意識)의 이중적 의미 (3) 청춘, 전환기, 창조성 내의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 (4) 창조성에 대한 세부 사항: 그 세 가지 단계 (5) 잊혀진 것과 노출된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 사이의 대립적 저항의 차이점들 (6) 에필로그: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의 개념을 그렇게 오랫동안 가로막고 있었던 장애물에 대하여 (7)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 속에서의 의식된 알게 된 행위, 유토피아 기능 (8) 다시 유토피아 기능에 대하여. 여기에 내재한 주체와 기존의 나쁜 현실 상황에 반대되는 면모 (9) 유토피아 기능의 ‘이익 (Interesse)’과의 만남 (10) 유토피아 기능의 이데올로기와의 만남 (11) 원형과 유토피아 기능과의 만남 (12) 이상과 유토피아 기능과의 만남 (13) 알레고리 및 상징과 유토피아 기능과의 만남

 

16. 유토피아의 실현에서 남아있는 상: 이집트의 헬레나 그리고 트로야의 헬레나 (원문 204 쪽)

 

(1) 꿈은 앞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2) 마음속에 감추어진 듯한 불 충족 (3) 환멸의 첫 번째 이유: 네가 없는 곳에 행복이 있다; 환멸의 두 번째 이유: 독자적으로 변한 꿈과 헬레나 전설의 이중적 의미 (4) 첫째, 둘째 이유에 대한 반론: 정지된 상으로서의 오디세이 (5) 남아있는 유토피아 상의 세 번째 이유: 실현의 아포리아

 

17. 유토피아 판타지의 어떤 상관 개념을 찾을 수 있는 세상: 현실적 가능성, 전선 (前線), 새로운 무엇 (Novum), 최후 그리고 지평 등의 카테고리 (원문 224쪽)

 

(1) 꿈은 현존재와 인접해 있지 않다 (2) 세상의 많은 것들이 아직 열려 있다 (3) 전투적 낙관주의, 전선, 새로운 무엇, 최후 등의 카테고리 (4) “가능성으로 향한” 그리고 “가능성 속에서”의 존재, 맑시즘에 내재한 한류와 난류 (5) 보이는 “예측된 상”으로서의 예술적 상 (6) 잘못된 독자적 특성: 현실의 단편으로서의 예측된 상 (7)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모든 현실적인 것은 어떤 지평을 지닌다.

 

18. 카테고리, “가능성”의 계층들 (원문 258 쪽)

 

(1) 형식적 가능성 (2) 사실적 객관적 가능성 (3) 사실에 합당한, 객관에 적합한 가능성 (4) 객관적 현실적 가능성 (5) 기억: 가능성에 대항하는 정적이자 논리적인 투쟁 (6) 가능성을 실현시키기

 

19. 세계의 변화 혹은 포이어바흐에 관한 맑스의 11 개의 명제들 (원문 288쪽)

 

(1) 작성 시기 (2) 구분에 관한 사항 (3) 인식 이론의 그룹: 관조와 행위 (명제: 5, 1, 3) (4) 인간학 및 역사 등의 유형: 자기 소외와 진정한 유물론 (명제: 4, 6, 7, 9, 10) (5) 이론과 실천의 그룹: 증명과 시험 (명제: 2, 8) (6) 핵심적 발언과 그 의미 (명제: 11) (7) 아르키메데스의 점: 과거 뿐 아니라, 도래하는 무엇과 본질적으로 관계되는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