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림 (명저)

(명저 소개) 장희창의 '춘향이는 그래도 운이 좋았다'

필자 (匹子) 2024. 10. 13. 09:03

과문함을 책망하며 살아가고 있다. 장희창 교수의 책 『춘향이는 그래도 운이 좋았다. 세상 속으로 걸아가는 책 이야기』 (문학에디션 뿔, 2008)를 이제야 뒤늦게 구해서 읽었다.

 

 

책은 다섯 장 (문학, 역사, 제국, 자연 그리고 21세기)으로 분류된다. 여기에는 많은 동서양의 책들이 빼곡히 소개되어 있다. 서양 문학은 물론이고, 동양의 고전 또한 빠져있지 않다. 저자의 시각은 폭넓고 원시안적이지만, 자그마한 세부적 사항을 놓치는 법이 없다. 저자의 입장은 몇 가지 사항으로 확정되지 않고 유연함을 견지하는 것은 그만큼 현재, 과거 그리고 미래를 관망하는 저자의 시각이 유연하고 광활하다는 뜻이다. 장희창 교수의 강점은 무엇보다도 문체에 있다. 장희창 교수의 글은 간결하고 힘차다. 단어 하나 허투루 사용한 게 눈에 띄지 않는다. 이는 필자가 지니지 못한 놀라운 능력이 아닐 수 없다. 책의 내용을 일일이 소개하는 것은 별반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저자의 서문을 일부 인용하려고 한다.

 

(...) 서울대 인근의 신림동 고시촌은 청운의 꿈을 품은 고시 지망생으로 북적댄다. 오만명 이상의 고시생들이 좁은 방에 틀어박혀 밤낮으로 각종 법전을 달달 외워대고 있다. 열기와 규모 면에서 아마도 세계 정상급 수준일 것이다. 하지만 그중에서 지옥의 관문을 통과하는 고시생의 비율은 높게 잡아도 십 퍼센트 미만이다. 그 나머지 패배자들의 운명은? 청춘의 몸과 영혼을 바쳤던 시간은 어떻게 보상받을 것인가? 헛발질로 끝나고 만 청춘의 귀한 시간을 이처럼 내버려 두어도 되는 것인가? (...)

 

우리의 자랑스러운 선조 연암 박지원은 『열하일기』에서 그러한 이전투구 아수라장을 마음껏 조롱했다. 장원급제의 실력에도 불구하고 답안지에 낙서를 해 제출해버리고 학문에 전념했고, 때가 오자 조선 땅을 떠나 중원으로 향했던 연암. 결국 조선에 빚을 진 것은 권력투쟁에 눈이 멀었던 권력 동물들이 아니라, 아수라장을 뒤로 하고 드넓은 세계로 떠났던 연암이었다.

 

이런 상상을 해본다. 고시생들 중에서 만 명 정도만이라도 법전을 달달 외우는 소모성 열병에서 건져내어 우리 문화를 살찌울 생산적인 일에 종사케 한다면, 머지않아 우리 사회는 문화 대국이 되고도 남을 것이다."

 

돈과 권력을 추구하는 공부를 어떻게 포기할 수 있을까? 가난에 대한 불안을 어떻게 떨칠 수 있을까? 필자는 출세와 행복을 위해서 눈앞의 사랑과 행복을 놓치는 젊은이들을 수없이 목격하였다. 입신양명을 위한 법전을 달달 외우는 대신에 스스로 문제의식을 떠올리며 목표를 설정하면서, 학문에 몰두하는 것은 불가능할까?. 자신의 정신을 살찌우게 하고, 이웃과 사회에 기여할 방도는 분명히 있다.

 

좋은 책을 읽게 해주신 저자에게 감사드리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