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테바 4

서로박: 크리스테바의 '시적 언어의 혁명'

불가리아 출신의 문학 이론가, 기호학자, 페미니즘의 정신분석학자, 쥴리아 크리스테바 (J. Kristeva, 1941 -)의 "시적 언어의 혁명 (La révolution du langage poétique)"은 1974년 파리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본서는 시적 언어가 얼마만큼의 영역내에서 기능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추적한다. 크리스테바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 분석학, 현상학, 구조주의 그리고 헤겔 및 유물론의 변증법 등의 사고를 추적함으로써 어떤 고유한 텍스트 개념을 찾고 있다. 그녀가 다루는 연구 내용은 말라르메, 아르토 그리고 죠이스 등의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현대성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음의 사항이다. 시적 언어는 텍스트의 어떤 비판적 실제 작업, 의미 부여의 과정 그리고 주체의 형..

25 문학 이론 2023.11.09

서로박: (서평) 식수와 클레망의 새롭게 태어난 여인

엘렌 식수 (H. Cixous, 1937 -)와 카트린느 클레망 (C. Clément, 1939 -)의 "새롭게 태어난 여인 (La Jeune Née)"은 1975년 파리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제 1장, 「죄지은 여인 (La Coupable)」에서 클레망은 지금까지 “마녀” 혹은 “히스테리의 여자” 등으로 비하된 (남성적 시각에 의한) 잘못된 적대적 여성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이로써 가부장주의 이후의 사회에서 새롭게 나타날 “새롭게 태어날 여인”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제 2장, 「출발점들 (Sorties)」에서 식수는 (이제 페미니즘의 역사 비평 내지 사회 비평의 패러다임으로 변한) “남근 권력적 (phallokratisch)” 세계 질서의 많은 양상들을 하나하나 열거한다. 제 3장, 「교환..

5 사회심리론 2019.01.23

서로박: 자크 라캉의 이론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2. 라캉 이론의 문제점 (1): 지금까지 우리는 라캉의 이론을 초보적 수준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문학 이론상으로 고찰할 때 라캉의 이론은 후기 구조주의 및 해체 이론 등의 시각을 전폭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라캉은 무의식을 말하기 행위로써 도출해내어, 이를 동일한 차원에서 고찰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라캉의 이러한 태도는 몇 가지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예컨대 무의식의 공간은 언어 영역 내의 의사 전달에 불필요한 부분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 이전의 여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한 인간이 정치적인 이유로 인하여 혹은 심리적 이유로 인하여 말로써 모든 것을 발설하지 못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십시오, 자고로 성에 관한 사항을 타인에게 발설하는 것은 참으로 껄끄러..

30a Lacan 201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