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순 2

문학 치료 참고 문헌 소개

문학 치료 참고 문헌 (한국어 문헌만을 일차적으로 소개하기로 한다.) - 강원대 인문과학 연구소 편: 인문 치료, 강원대 출판부 2008. (이 책은 문학치료를 넘어서서, 인문 치료의 가능성을 모색한 귀중한 논문집이다.) - 강원대 인문과학 연구소 편: 인문 치료의 모색, 강원대 출판부 2009. (앞의 책과 유사한 중요한 문헌으로서 각론의 성격을 풍긴다. 제 1부의 논문 “인문 치료의 모색”, 제 2부의 논문들 이를테면 “인문 치료에 있어서의 앎의 방법”, “왕양명의 용장오도에 대한 치유 철학적 해석” 등이 읽을 만하다.) - 드레버만, 오이겐: 장미와 이카루스의 비밀, 고원 역, 지식산업사 1998. (저자는 정신분석학의 입장에서 생텍쥐페리의 『작은 왕자 Le petit prince』(어린 왕자로 번..

5a 문학 치료 2024.02.15

서로박: 에릭 에릭슨과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 심리 이론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3. 네 번째 단계, 균형 감각 (1): 슈타이너가 언급하는 초기 감각론의 네 번째 단계는 균형 감각입니다. 균형 감각이란 말 그대로 전후, 좌우, 상하의 균형을 잡기 위한 감각을 지칭합니다. 따라서 그것은 방향성의 감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균형 감각은 주어진 자연과의 조화로움이라는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입니다. 위와 아래를 인지하는 것은 시각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몸속의 균형 감각에 기인합니다. 우주인들은 우주에서 수직으로 똑바로 서려는 성향을 드러내는데, 이는 시각적 판단이 우주의 현실에서착오를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인간이 세상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시각, 청각 그리고 촉각 등을 모조리 활용해야 합니다. 갓 태어난 영유아를 생각..

5 사회심리론 2019.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