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경 2

서로박: (2)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

(앞에서 계속됩니다.) 6. 죽음과 죽임, 극단적 자기 파괴성 어느 날 표도르 베르초벤스키는 샤토프라는 이름의 대학생을 교묘한 방법으로 암살합니다. 나중에 그는 암살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토로합니다. 즉 샤토프가 자신을 당국에 밀고하겠다고 위협하며 엄포를 놓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발언은 다만 핑계에 불과했습니다. 사실인즉 그는 동지들에게 반정부주의의 운동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 무지렁이 한 사람을 살해한 것이었습니다. 한 인간의 바보스러운 행동의 배후에는 이런 식의 교활한 간계가 숨어 있었습니다.  표도르 베르초벤스키는 자신의 이념을 열광적으로 추구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타인의 목숨을 빼앗는 파괴적 이념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당시에는 시갈레프라는 독재자가 무지막지한 폭정을 휘두르고 있..

31 동구러문헌 2025.01.02

(명저 소개) 박혜경: 당신의 차이를 즐겨라

우리는 자신의 취향, 판단, 관심, 세계관 등과 같은 잣대를 가지고 세상을 측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타자의 취향, 판단, 관심 그리고 세계관과 같은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의 측정은 타자의 측면에서 고찰할 때 지극히 주관적인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스스로 밝혀낸 여러 가지 작대가 처음부터 절대적이라고 지레짐작합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하나의 편견일 수 있으며, 잘못된 측정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기준과 잣대는 어떠면 우리가 은연중에 관습, 도덕 그리고 법 등의 질서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것인지 모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모든 것을 이러한 질서에 의해서 수직구도로 배열하는지 모릅니다. 이러한 수직 구도의 배열은 힘있는 타자의 이데올로기일 수 있으며, 전통적 가치를 무작정 추종하는 소시..

1 알림 (명저) 20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