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스 7

서로박: (4) 프로이트의 '도스토옙스키의 아버지 살해'

(앞에서 계속됩니다.) 19. 아버지의 죽음과 간질: 의사였던 도스토예프스키의 아버지는 강한 의지의 소유자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도스토예프스키는 아버지 앞에서는 항상 유약하고 힘없는 아이에 불과했습니다. 미하일 안드로비치는 1837년에 농장에서 심장이 멎어서 사망했습니다. 이웃은 그가 식솔들에 의해서 살해되었다고 주장했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고 결론이 났습니다. 나중에 남동생 안드레이는 아버지가 누군가에게 얻어맞아서 죽었다고 토로하였습니다. 어쨌든 도스토예프스키는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깊은 죄의식과 후회의 감정을 감추지 않았는데, 이는 프로이트에 의하면 추후에 간질의 증세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프로이트의 견해일 뿐, 사실로 판명되지는 않았습니다.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에 나타나는 아버지 살해..

31 동구러문헌 2025.03.06

서로박: (2) 폴커 브라운의 '체 게바라, 혹은 태양의 나라'

(앞에서 계속됩니다.) 3. 갈등과 모순 구조 (1) 브라운은 “사회적 모순의 형성과 해결을 제시하는 일”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으로 간주했다. 이에 비하면 “줄거리는 다만 시적인 표현 방법”에 불과하다. (역주: V. Braun: Über die Bauweise neuer Stücke, in: Es geht nicht einfache Wahrheit, a. a. O., S. 136.) 이미 언급했듯이 작품내의 등장인물 사이의 갈등은 게바라의 죽음 장면으로부터 (쿠바를 떠나기 전 무렵의) 카스트로와의 대화에 이르기까지 역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막간극을 제외한 일곱 개의 장면은 제각기 주인공의 사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수 없는 주변 환경 및 여건 사이의 갈등을 담고 있다. 그렇지만 주제를 ..

45 동독문학 2025.02.09

서로박: (9)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앞에서 계속됩니다.) 9. 헬레네 바이겔 (1900 = 1971) 여자: 헬레네 바이겔은 법적으로 브레히트의 두 번째 아내였지요? 남자: 그런데 브레히트와 바이겔 사이에는 혼인할 때 아무런 협약이 없었습니다. 브레히트의 일방적 성적 자유에 대해 바이겔이 그냥 동의하는, 불평등 관계가 암묵적으로 맺어졌지요.여자: 흔히 사람들은 사르트르와 보바르 사이의 계약 결혼을 언급합니다. 프랑스의 두 작가는 결혼하면서, 세 가지 사항을 실천하려 하였습니다. “첫째로 시민 사회의 일부일처제는 용납될 수 없다. 둘째로 두 사람은 상대방의 성적 자유를 용인한다. 셋째로 어떤 경우에도 비밀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약속을 어긴 사람은 사르트르였으며, 보바르는 크고 작은 심리적 고통을 느꼈습니다. 그런데 브레히트는 자기중심적..

46 Brecht 2024.04.05

서로박: (4) 보위에의 "칼로카인"

(앞에서 계속됩니다.) 23. 여성의 세계관: 보위에의 작품에는 페미니즘이 자향하는 바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가령 등장인물 린다의 경우가 그것입니다. 린다는 사회 정치적 문제보다는 인간의 근본적인 심리인 사랑의 감정에 더욱 충실한 인간형입니다. 레오 칼은 린다를 통해서 비로소 자신이 얼마나 국가 권력의 충직한 하수인이었는가? 하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린다는 인간과 인간을 서로 연결해주는 매개체가 국가 권력과 직업 세계의 공적인 관계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사랑과 우정과 같은 순수한 영혼의 교감이라는 점을 알려줍니다. (Ross 127). 이를 고려할 때 린다는 공적인 삶과 사적인 삶에서의 제반 갈등을 풀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긍정적 인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디스토피아의 소설에서는 ..

39 북구문헌 2023.04.12

서로박: 횔덜린의 엠페도클레스의 죽음

횔덜린의 「엠페도클레스의 죽음」은 1797년에서 1800년 사이에 씌어졌으며, 시인이 사망한 뒤에야 (1826년) 발표된 미완성 드라마이다. 세편의 원고 가운데 제 2고만이 "Der Tod des Empedokles. Ein Trauerspiel in fünf Akten"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엠페도클레스는 실제로 BC. 5세기 (지금은 시칠리아의 아그리겐트인) 아크라가스 출신의 고대 철학자, 시인, 의사 그리고 정치가이다. 횔덜린은 1797년 곤타르家에서 작품을 구상하였으나, 제 2막에서 집필을 중단하였다. 1798년 그는 홈부르크에서 제 2고를 착수하였으며, 제 3고에서 근본적 수정을 가했다. 횔덜린은 친구 싱클레어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엠페도클레스는 역사극도 아니고, 고대..

40 근대독문헌 2021.06.12

서로박: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 (2)

(앞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저항의 미학” 제 2권은 1938년 초의 시점부터 시작됩니다. 주인공 “나”는 어느새 파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국제 적군단은 거의 해체 위기에 처해 있고, 프랑코는 승리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나”는 파리에 잠깐 머물면서 스웨덴 체류를 위한 비자를 기다립니다. 기다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주인공은 망명자 지원 단체에서 일하면서, 루브르 도서관에서 예술사의 책을 읽는 것으로 소일합니다. 마침내 주인공 “나”는 스톡홀름에 도착합니다. 그곳에서 청소부 그리고 화부 (火夫)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합니다. 간간이 주인공은 독일 공산당 연락책으로 일합니다. 당시에는 스톡홀름에서도 히틀러의 영향이 커져가서, 공산주의 운동은 불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나”는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44 20후독문헌 2021.02.05

서로박: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 (1)

저항의 미학 한국어 판은 2016년 문학과 지성사에서 3권으로 간행되었습니다. 제 1권은 탁선미 교수에 의해, 제 2권은 남덕현 박사에 의해, 제 3권은 홍승용 교수에 의해 번역되었습니다. ............................. 친애하는 C, 유대인 출신의 작가 페터 바이스 (Peter Weiss, 1916 - 1982)는 동독의 하이너 뮐러와 함께 가장 위대한 20세기 극작가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서독 출신의 극작가 가운데 바이스만큼 완강하고도 격렬하게 구서독의 보수성을 비판하고, 무디어져 가는 다원주의 사회의 체제 옹호적 경향에 메스를 가한 작가도 아마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페터 바이스의 작품이 잊혀진다는 것은 무척 안타깝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 3권으로 이루어..

44 20후독문헌 202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