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드로 16

서로박: 카인호르스트의 비판적 유토피아

2013년 드레스덴에서 기이한 데모가 열렸다. 누군가 36킬로의 털실로 탱크를 싸고 이를 전시했다. 독일은 1945년부터 지속적으로 해외에 레오파드 1이라는 전차를 판매하면서 돈을 벌었다. 유럽의 평화와 풍요로움은 무엇보다도 중동 지방에 무기를 판매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유럽은 중동 지방의 전쟁과 살육에 모르쇠로 일관할 수 있는가? 브렉시트에 동의하는 영국인들은 이를 제대로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아네테 카인호르스트는 1985년 『미국 현대 문학에 나타난 여성 유토피아』를 간행하였다. 이 연구서는 단순히 미국 문학의 연구라는 작품 내재적인 분석에 국한되지 않는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해낼 수 있는 “비판적 유토피아”의 성립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카..

26 유토피아 2022.06.19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2가 태어났습니다.

망각의시대에 당신한분이라 도이책으로감 명을받았으면 필자로서는더 할나위없이감 사하겠습니다 0. 서문 제 2권 1. 모어 이후의 르네상스 유토피아 2. 라블레Rabelais의 텔렘 사원의 유토피아 (1551) 3. 안드레에Andreae의 『기독교 도시 국가』 (1619) 4. 캄파넬라Campanella의 태양의 나라 (1623) 5.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기술 유토피아 (1627) 6. (요약) 계몽주의, 라이프니츠Leibniz의 「우토피카 섬에 관하여」 (1688) 7. 윈스탠리Winstanley의 『자유의 법』 (1652) 8. 베라스Vairasse의 세바랑비 유토피아 (1675) 9. 푸아니Foigny의 양성구유의 아나키즘 유토피아 (1676) 10. 퐁트넬Fontenelle의 무신..

1 알림 (명저) 2020.12.26

서로박: 푸아니의 '미지의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1)

1. 절대 왕정 체제의 시대에 출현한 유토피아: 17세기 프랑스에서는 절대 권력의 군주가 조세를 갈취하고 가난한 백성들로 하여금 강제 노동을 강요 하고 있었습니다. 1676년 제네바에서는 『자크 사뒤르의 모험 Les Avantures de Jacques Sadeur』이라는 제목의 소설 한 편이 작자 미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나중에 알려졌지만, 소설을 집필한 사람은 가브리엘 드 푸아니 Gabriel de Foigny로 밝혀지게 됩니다. 소설의 제목 역시 나중에 『미지의 오스트레일리아 Terra Australe』로 수정됩니다. 이 작품은 남쪽 나라의 찬란한 나라를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데니스 베라스 Denis Veiras의 『세바랑브의 역사 Histoire des Sevarambes』(1677)와 같은 유..

32 근대불문헌 2020.10.11

서로박: 디드로의 "달랑베르와 디드로의 대화" (2)

6. 정신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점 그리고 아직 밝혀내지 못한 정신과학의 방향: 이른바 “명징한” 과학에 해당하는 물리학, 수학 그리고 추론에 근거하는 학문 영역, 이를테면 역사학, 도덕 그리고 정치학 사이의 차이점은 디드로의 견해에 의하면 다음의 사항에 있다고 합니다. 전자의 경우 우리의 인식을 동원하여 확실한 예견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후자, 다시 말해서 역사학, 도덕 그리고 정치학은 우리로 하여금 충분하지 못한 결론에 도달하게 해줄 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세계의 모든 상태 그리고 세계의 에너지 등에 관한 모든 지식을 지닐 수 없기 때문에. 우리 인간은 신의 권능을 지니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디드로의 이러한 견해에 대해 달랑베르는 의구심을 표합니다. 그러자 디드로는 달랑베르를 설득시키기 위해서..

32 근대불문헌 2020.03.04

서로박: 디드로의 "달랑베르와 디드로의 대화" (1)

1. 백과사전 학파 디드로의 대표작: 프랑스 계몽주의 문학은 논할 때 우리는 드니 디드로를 생략할 수 없습니다. 18세기에 프랑스에는 의고전주의의 경향으로 도식적이고 경직된 문헌이 많았습니다. 여기에는 볼테르의 강력한 종교 비판의 어조 역시 한몫을 했습니다. 그러나 디드로의 작품을 통해서 프랑스 계몽주의의 문학은 어느 정도 유연하고 깊이 넘치는 수준에 도달하게 됩니다. 오늘은 드니 디드로의 철학적 대화 문집에 해당하는 『달랑베르와 디드로 사이의 대화L'Entretien entre d'Alembert et Diderot』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이 문헌은 1769년에 발표되었는데, 당시에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자신의 명제를 과감하게 개진하고 있습니다. 작품 속에 실려 있는 논문인 「달랑베르의 꿈Le ..

32 근대불문헌 2020.03.04

계몽주의와 절대왕정 시대의 유토피아 (2)

10. 계몽주의 유토피아의 10가지 유형 (1): 레이몽 트루송Raymond Trousson은 『없는 곳의 나라에로의 여행. 유토피아의 사고의 문학사Voyages aux pays de nulle part: histoire líttéraire de la pansée utopique.』(1975)에서 17세기 18세기에 유럽에서 출현한 유토피아의 특성을 10 가지로 제시했습니다. (Trousson: 121f). 첫째는 주어진 현실과 시대를 풍자하고 비아냥거리는 유형입니다. 이는 문학작품에서 권력지향적 인간 내지 나쁜 체제에 대한 풍자로 나타났습니다. 둘째는 이른바 정치적 보수주의자들의 문학 유토피아인데, 주어진 현실을 약간 수정하여 이를 문학적으로 반영한 유형입니다. 셋째는 역사적 진보와는 방향이 다른 지상..

26 유토피아 2018.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