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3.B: 놀라운 지적이로군요. 다음 기회에 “기독교와 평신도 운동 그리고 이단 사상”에 관해서 강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 함석헌으로 돌아가기로 하겠습니다. 김교신과 함석헌은 1927년 귀국하여 『성서조선』을 창간했지요?A: 그렇습니다. 그들의 탈권위주의적 기독교 사상은 김교신에 의해 민중적 저항적 의미를 강하게 부각했지요. 함석헌의 친구, 김교신은 민중 신학에서 커다란 족적을 남긴 분입니다. 일본 식민주의자들은 『성서 조선』 불온서적으로 규정하고, 여기서 활동하던 사람들을 체포했습니다. 그런데 김교신은 해방이 될 무렵에 안타깝게도 유명을 달리했지요. B: 함석헌이 시를 쓰기 시작한 시점은 바로 이 무렵입니다. 이게 하나의 우연일까요?A: 글쎄요. 해방 후에 자신의 고향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