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에서 계속됩니다.) 14. 문제는 재기억이 아니라, “새로운 무엇Novum”이다.: 블로흐에 의하면 훌륭한 최고 상태는 최종점Ultimum에 이르러 완성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블로흐는 재기억 대신에 전선 근처에 서성거리는 새로운 무엇을 강조합니다. 희망이라는 기대 정서는 플라톤의 “재기억Anamnesis)” 이론을 부정하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지금까지의 철학은 블로흐에 의하면 “근원”, 즉 과거에 있었던 진리를 마치 조상님처럼 숭배해 왔습니다. 블로흐는 플라톤으로부터 아우구스티누스, 헤겔을 거쳐서 니체에 이르기까지 근원 중심주의를 비판하였습니다. 대부분 사상가는 플라톤의 재기억 이론을 제반 철학적 인식의 토대로 받아들였다는 것입니다. (Bloch, PH: 234f.) 이로써 미래는 중시되지 않았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