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현대영문헌

서로박: 길먼의 여성주의 유토피아 (5)

필자 (匹子) 2021. 6. 29. 09:24

27. 페미니즘과 여성의 삶에 대한 성찰: 이곳에서는 대모 大母, Co-Mother”가 존재합니다. 대모는 많은 자식을 거느릴 수 있는 특별 권한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단 한 번 자식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대모의 경우 여러 번 출산이 가능합니다. 또한 여자의 나라에서는 아이를 키우는 일을 담당하는 자들은 특별 대접을 받습니다. 여왕을 제외한다면, 특별 권한을 부여받는 여성들은 대모 외에는 한 명도 없습니다. 길먼은 여자들만의 나라를 통해서 하나의 이상적 사회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서로 다투고 경쟁하는 일, 인간을 죽기고 살육하는 행위 그리고 가지지 못한 자를 경제적으로 착취하는 일 등이 결코 발생하지 않습니다. 여성 공동체의 여성들은 더 이상 남성에 의해서 질질 끌려가거나 종속되어 살아가는 대신에, 자신의 고유한 품성을 자생적으로 그리고 자치적으로 가꾸어나갑니다.

 

그렇지만 길먼은 자매들의 친목을 통해서 나타날 수 있는 거대한 권력의 위험한 가능성에 관하여 전혀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위험성은 나중에 어슐러 르 귄의 작품 빼앗긴 자들. 어떤 모호한 유토피아The Dispossessed. An Ambiguous Utopia(1974)에서 암시되고 있는데, 길먼은 이에 관해서 추호도 의심한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곳에서는 결코 남성의 보살핌을 필요로 하는 유약한 여자도 없고, 그렇다고 해서 죽도록 일에 몰두하는 거친 여자도 없습니다. 우리는 프랑스의 페미니스트 뤼스 이리가라이Luce Irigaray라든가 엘렌 식수Hélèn Cixous가 언급하는 여성의 삶의 전 단계를 길먼의 유토피아에서 어느 정도 상정해낼 수 있습니다. 즉 남성의 팔루스 중심적인 성과 대비되는, 전인적 특성을 지닌 여성성이 바로 그것입니다.

 

28. 평화와 협동을 추구하는 여성들은 전투적인 아마존 여성들과 대비된다.: 『여자들만의 나라』에 등장하는 공동체의 원형은 고대의 아마존 여성 공동체와 정반대의 특성을 표방합니다. 아마존 여성들은 전투주의의 남성 사회와 싸우다가 심한 피해를 당합니다. 이를 고려할 때 길먼은 고대 사회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어진 사회 구조가 철저하게 남성주의의 사고에 근거해 왔음을 지적하고, 여성들의 자치적인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놀라운 것은 길먼의 여성 공동체가 투쟁, 경쟁 등을 지양하고, 평화와 협동을 준수한다는 사항입니다, 이로써 길먼의 유토피아는 20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여성주의 평화 운동과 관련되는 유토피아의 흐름에 획기적 교두보를 마련한 셈입니다. 『여자들만의 나라』에서는 제반 영역에 있어서 파생될 수 있는 위험성 내지 단점에 관한 어떠한 암시도 생략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작품이 진보적 낙관주의의 여운을 떨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29. 여성이 여성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를 공고하게 한다.: 길먼은 여성공동체의 묘사를 통해서 시민사회의 여성상의 허구성을 예리하게 지적합니다. 시민사회의 여성들은 무의식적으로 타인의 마음에 들도록 행동하고, 남성중심주의 사회 내에서 여성다움, 즉 수동적 여성상을 당연한 것으로 여겨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상은 팔루스 중심주의에 근거한 것으로서 허구적 이데올로기에 가리어져 있는 무엇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길먼은 여성이 여성다움을 강요하는 이러한 허구적 이데올로기의 껍질을 벗어던질 때 비로소 자신의 고유성과 자유를 찾을 수 있으리라고 여겼습니다. (Lane: 76). 

 

기실 사회가 여성들에게 여성다움을 강요하는 것은 배후에서 여성 혐오를 더욱더 부채질하였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여성 혐오”란 이른바 “여성다움”이라는 동전의 뒷면과 같습니다. 그것은 여성에 대한 남성들의 혐오만을 가리킬 뿐 아니라, 강요된 여성다움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성들의 자기 비하와의 감정과도 결부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길먼에 의하면 여성들이 이른바 여성다움, 즉 수동적인 여성상을 강요받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렇게 해야만 여성들은 자신에게 여성다움을 강요하는 외부적 압박을 떨치고, 자기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할 때 페미니즘 운동은 반드시 의식 있는 남성들의 협력을 필요로 합니다.

 

30. (요약) 길먼의 유토피아의 여섯 가지 특성: 첫째로 『여자들만의 나라』는 가부장적 남성사회에 대한 반대급부의 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학 유토피아의 특성을 보여줍니다. 둘째로 미지의 지역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길먼의 유토피아는 긍정적인 장소 유토피아로 규정될 수 있습니다. 셋째로 19세기 말까지 여성들의 권리는 경제적 생산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강탈당해 왔습니다. 그러나 『여자들만의 나라』에서 독자적 노동을 담당하는 자들은 여성들입니다. 넷째로 문화적으로 그리고 민속학적으로 억압당해온 여성들의 공동체의 삶은 유럽의 가부장적 수직 구도의 삶보다 더 훌륭하게 영위됩니다. 

 

다섯째로 『여자들만의 나라』에서 중시되는 것은 필요에 의한 노동, 협동적 생산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와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바를 서로 결합시키고 있습니다. (d’Idler: 161)여섯째로 길먼의 유토피아는 맹목적인 과학 기술을 추구하는 대신에 자연과의 조화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이른바 유연한 과학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경쟁과 대립를 사전에 차단시키고 여성들로 하여금 생태 친화적인 기술을 활용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20세기 후반부부터 활성화된 여성 운동 그리고 생태 평화 운동에 중요한 모티프를 제공하게 됩니다.

 

참고 문헌

 

- 길먼, 샬롯 퍼킨스 (2016): 허랜드. 여자들만의 나라, 황유진 역, 아고라.

- 김진옥 (2005): 길먼의 『허랜드』, 유토피아와 모성, 실린 곳: 현대 영어영문학, 제 57권 2005, 47 – 85.

- 밀, 존 스튜어트 (1995): 여성의 예속, 김민예숙 역, 이화여대 출판부.

- 변학수 (2005): 문학 치료. 자발적 책읽기와 창의적 글쓰기를 통한 마음의 치유, 학지사.

- 송희영 (2016): 옴므 파탈, 돈 주앙과 카사노바. 치명적 유혹과 남성성, 한국문화사.

- d’Idler, Martin (2007): Die Modernisierung der Utopie. Vom Wandel des neuen Menschen in der Politischen Utopie der Neuzeit, Berlin.

- Gilman, Charlotte, Perkins (1994): Herland, Reinbek bei Hamburg.

- Gnüg, Hiltrud (1999): Utopie und utopischer Roman, Stuttgart.

- Holm, Inge (1981): Charlotte Perkins Gilman: Herland, in: Heynes Science Fiction Magazin #1, (hrsg.) Wolfgang Jeschke, München.

- Hudson, William Henry (2013): A Crystal Age, London.

- Jens (2001): Jens, Walter (hrsg.), Kindlers neues Literaturlexikon, 22 Bde., München.

- Lane, Ann J (1980).: The Fictional World of Charlotte Perkins Gilman. Reader, New York.

- Saage, Richard (2008): Utopische Profile, Bd. 4, Widersprüche und Synthese des 20. Jahrhunderts, 2. Korrigierte Aufl., Mün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