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국가론』과 관련하여 「스키피오의 꿈」이 지니는 의미: 그렇다면 어떠한 이유에서 키케로는 자신의 책 『국가론』의 마지막 부분에 일견 사적으로 보이는 두 번째 스키피오의 꿈 이야기를 실었을까요? 스키피오가 꿈에서 고찰한 우주는 무엇이며, 이것이 국가를 다스리는 문제와 과연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일까요? 한마디로 말해서 국가를 훌륭하게 다스리는 인간의 영혼은 천구에 머물면서 영생을 누린다는 것입니다. 키케로는 책의 서두에서 인간의 두 가지 유형의 삶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 하나는 도덕적 완전성을 추구하는 삶이며, 다른 하나는 “향락voluptas” 내지 “무위otium”에 의해 소진되는 삶입니다. 키케로에 의하면 공동체를 위해서는 후자의 삶보다는 전자의 삶이 더욱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나라를 다스려야 하는 사람은 공동체를 위해서 자신을 철저하게 희생할 줄 아는 자이어야 합니다. 나라를 훌륭하게 다스리고, 사람들의 행복과 안녕을 도모한 정치가는 죽은 뒤에도 명예롭게 영생을 누린다는 게 키케로의 지론이었습니다. 이로써 키케로는 에피쿠로스의 향락을 추구하는 “명상적 삶 vita contemplativa”보다는 국가를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행동하는 삶 vita activa”을 더욱 중요한 것으로 강조하였습니다. 나중에「스키피오의 꿈」은 예술적으로도 많이 형상화되었습니다. 르네상스의 천재화가, 라파엘로는 회화를 통해서 어떠한 삶이 진정한 영웅의 행적인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모차르트 역시 1772년에 이에 관한 오페라, 「스키피오의 꿈Il sogno di Scipione」를 남겼습니다.
24. 플라톤과 키케로의 문헌: 소크라테스와 키케로는 제각기 최상의 국가에 관해서 모든 것을 대화체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두 작품에서 논의를 개진하는 톤은 서로 다릅니다. 가령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 사이의 문답이라든가 서로의 견해를 대비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해답을 도출해내려고 했다면, 키케로는 친구와 친구 사이의 격의 없는 대화로써 자신의 논의를 이끌어나가고 있습니다. 키케로의 문헌은 선생과 제자 사이의 철학적 대화가 아니라, 정치가와 무인 사이의 논쟁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플라톤이 국가에 관한 사항을 함께 언급하고, 여러 가지의 사항을 내세우면서 국가의 근본적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시도했다면, 키케로는 최상의 국가에 관한 설계라든가 이에 도달하기 위한 분명하고도 구체적인 방향 설정을 담은 게 아니라, 마지막 장면에 이르러 “스키피오의 꿈”과 같은 기이한 신화적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키케로가 스키피오의 꿈을 재구성한 까닭은 당시 그가 처했던 현실적 상황 속에서 자신이 얼마나 무력한가 하는 점은 은근히 드러내고 싶었기 때문인지 모릅니다.
실제로 첫 번째 스키피오는 자신의 양자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로마 제국은 우주의 차원에서 고찰하면 보일 듯 말 듯한 작은 점 하나에 불과하며, 인간의 명예 역시 결코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다음의 사항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즉 정치적 혼돈을 극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키케로에 의하면 한 인간의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어떤 불세출의 영웅이 내려다보는 우주론적인 광대무변의 시각일 수 있다는 사항 말입니다.
참고 문헌
- 김용민 (2007): 키케로의 정치철학: 「국가에 관하여」와 「법률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실린 곳: 한국 정치 연구 제 16집 1, 서울대학교 한국정치학 연구소, 1 – 33쪽.
- 서영식 (2014): 키케로의 국가론과 자연법사상, 실린 곳: 동서 철학연구, 73호, 349 – 371쪽.
- 키케로 (1997): 키케로의 의무론. 그의 아들에게 보낸 편지, 허승일 역, 서광사.
- 키케로, 마르쿠스 툴리우스 (2007): 국가론, 김창성 역, 한길사.
- 허승일 (2008):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사상과 현실 정치, 실린 곳: 서양고전학 연구, 31권, 57 – 82쪽.
- Aristoteles (1998): Politik: Schriften zur Staatstheorie, Stuttgart.
- Cicero (2013): De re publica, Vom Staat, Lateinisch/ Deutsch, Stuttgart.
- Cicero (2010): De re publica: Kommentar. Vollständige Ausgabe (Latein) (Latein) Taschenbuch, Münster.
- Jans, Marcus (2007): Towards a History of the Origin and Developement of the Rule of the Octave, in: Towards Tonality. Aspects of Baroque Music Theory, Leuven University Press.
- Jens (2001): Jens, Walter (hrsg.), Kindlers neues Literaturlexikon, 22 Bde, München.
- Macrobius (1952):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New York.
- Wehri Fritz (1967): Die Schule des Aristoteles : H.1 Dikaiarchos. Text und Kommentar. 2. Auflage. Schwabe, Basel
'37 고대 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로박: 에우리피데스의 "헬레나" (1) (0) | 2021.12.11 |
---|---|
서로박: 루키아노스의 향연 (0) | 2021.10.30 |
서로박: 에우리피데스의 "이피게니에" (0) | 2021.08.19 |
서로박: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2) (0) | 2021.08.05 |
서로박: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1) (0) | 202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