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20전독문헌

서로박: (2) 카프카의 '성'

필자 (匹子) 2017. 8. 17. 09:33

(앞에서 계속됩니다.)

 

친애하는 J, 성이 암시하는 비밀은 무엇일까요? 첫째로 막스 브로트 Max Brod의 견해에 의하면 성이란 신의 은총에 대한 상징이라고 합니다. 모든 것을 요한의 묵시록처럼 7일 동안 서술하려고 한 점, K의 직업이 측량 기사라는 점 등은 이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성으로 들어가려는 인간의 노력은 궁극적으로 신의 은총으로 향하는 열정과 같다는 것입니다. 발터 벤야민 역시 이러한 견해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둘째로 우리는 성의 비밀을 실존주의적으로 구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주장한 연구자로서 우리는 빌헬름 엠리히를 들 수 있지요. 인간 존재는 마치 미로와 같은 세계 속에서 영원히 방황하면서 살아갑니다. 인간은 허무라는 거대한 고해의 바다 속에서 그냥 실존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컨대 알베르 카뮈는 성에서 동시대인의 위기를 고찰하고 있습니다. 고립된 인간이 고해의 세상에서 보존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자아의 존재밖에 없다고 합니다. 실제로 소설 속의 많은 부분에서 성의 존재가 저세상 및 신의 영역을 지칭합니다.

 

셋째로 우리는 성의 본질을 개인 심리학의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에 관심을 둔 연구가로서 우리는 발터 조켈, 클라우스 바겐바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그것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심리학적 갈등에 관한 것입니다. 발터 조켈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도입하여 카프카의 심리적 갈등의 문제를 추적합니다. 이는 카프카 개인적 전기의 근본적 사항으로 귀결되는 것입니다. 바겐바흐에 의하면 성은 보세크 (Wossek)라는 지역에 있는 건물인데, 카프카가 어릴 때 그 근처에 거주하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작품 속에 다루어지는 내용은 거의 대부분 유년의 기억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합니다.

 

넷째로 우리는 사회 정치적 차원에서 성을 거론할 수 있습니다. 이를 주장한 사람으로서 하인츠 폴리처, 마르틴 발저, 프리드리히 바이스너 등이 있습니다. 성과 마을 사이의 관계는 가부장적 질서로써 설명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프라하 도시의 다양한 계층 사이의 공존 문제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하인츠 폴리처에 의하면 작품 구조가 마치 원처럼 빙빙 도는 미로를 방불케 하는 것도 사회 구조의 뒤엉킴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성」은 인종 문제, 사회 구성원들과 구성원들 사이의 소외 문제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로 성은 거대한 권력 그리고 금력 구조의 시스템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성은 자본주의 사회의 근본 구조로서 개인을 물화시키는 거대한 시스템을 상징합니다. 이를 주장한 사람은 루카치, 로저 가로디 그리고 에른스트 피셔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거대한 메가 시스템으로서의 자본주의 구조 속에서 개개인은 꼼짝할 수 없는 톱니바퀴들에 불과합니다. 등장인물들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시스템과 무관하게 살아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를 반증해주는 작품으로서 우리는 카프카의 「유형지에서 In der Strafkolonie」를 들 수 있습니다.

 

친애하는 J, 당신은 어느 견해에 동의하는지요? 이렇듯 성은 많은 주제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카프카의 신비로운 문학의 특징이며, 나아가 그의 문학적 위대성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한국문학에서 한용운의 임이 문학적 다양성을 표방하고 있듯이, 독일문학에서는 카프카의 성이 우리에게 수많은 상징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일독을 권하면서...

 

연구 논문

인성기: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본 카프카의 성, 독어독문학 49권 1호, 2006, 69 - 90.

 

(끝.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