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애 4

서로박: (2) 이미지는 서구문명의 아편인가? 미셸 투르니에의 '황금 구슬'

(앞에서 계속됩니다.) 6. 마르세유에 도착하는 순간 이드리스는 수많은 광고 사진을 접하게 됩니다. 그것은 북아프리카 지역의 여행을 부추기는 광고였습니다. 말하자면 제 3 세계는 프랑스인들에게 착취하는 식민지, 관광 여행의 장소,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던 것입니다. 사진의 도시 파리에서 이드리스는 순식간에 여러 직업을 전전합니다. 숙식을 위해서는 생활비가 필요했습니다. 아실 마즈Achille Mage라는 이름의 감독은 그를 삼류 영화의 엑스트라로 고용하는데, 주인공은 야자수 숲이라는 음료수의 광고 모델로 활약합니다.  에치엥 밀랑Étienne Milan이라는 이름의 사진사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주로 거주하는 파리의 “굿 도어Goutte d’Or” 구역에 거주하는데, 흑인 청년을 싸구려 광고를 위한 모..

33 현대불문헌 2024.05.22

서로박: (3) 미셸 투르니에의 '쌍둥이 행성'

(앞에서 계속됩니다.) 11. 소설의 구조적 특징: 소설의 관점의 측면에서 우리는 다음의 사항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즉 작품의 첫 부분에서는 주로 일기 형식의 서술로 등장인물의 다양한 관점이 복합적으로 드러납니다. 이러한 서술은 정태적 사진처럼 평이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야기의 관점은 소설의 중간 부분부터 서서히 폴. 한 사람의 관점으로 좁혀집니다. 사건의 흐름 역시 역동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소설의 진행이 정태적 상황의 서술로부터 역동적 사건의 서술로 변한다는 점을 간파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소설의 두 가지 사건, 다시 말해서 알렉상드르의 이야기 그리고 장과 폴의 이야기는 상호 보완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주제를 고려할 때 서로 상반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앞에서 언급했..

33 현대불문헌 2024.03.27

서로박: (2) 미셸 투르니에의 '마왕'

(앞에서 이어집니다.) 작품에는 괴테의 이야기시 「마왕Der Erlkönig」 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이야기 시, 즉 “담시Ballade”에는 아이를 안고 있는 아버지가 등장합니다. 아버지는 미몽에서 깨어나니, 품 안에 있던 아이가 마왕에 의해서 목숨을 잃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아차립니다. 사실 괴테의 마왕은 여러 관점으로 해석됩니다. 첫째로 마왕은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는 자연의 힘을 상징합니다. 둘째로 마왕은 하늘로 상징되는 신적 존재와는 반대되는 "지구 내부의 영혼 âme chtonienne” 내지는 자연의 마력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가령 괴테는 『파우스트』제 1권에서 “지령 Erdgeist”에 관해서 언급한 바 있습니다. 셋째로 마왕은 성폭력을 당한 사람의 꿈에서 나타나는 가해자로 이해될 수 있습니..

33 현대불문헌 2023.09.13

서로박: 로베르트 무질의 '세 여인' (2)

(8) 어느 맑게 갠 날 아침 갑자기 찾아온 옛 친구: 자신의 정적 (政敵)인 트리엔트 주교가 죽었을 때, 케텐의 거친 심성은 순간적으로 사라집니다. 마치 한 마리의 벌에 쏘인 듯이 힘이 빠지는 것이었습니다. 케텐은 서서히 죽음을 기다리는 신세로 전락합니다. 그리하여 아내에게 달려가서 자신을 간호해 달라고 부탁합니다. 어느 맑게 갠 날 아침 갑자기 누군가 포르투갈 여인을 방문합니다. 방문객은 여인이 청춘 시절에 사귄 적이 있었던 남자였습니다.  이때 케텐은 방문객에게 커다란 질투심을 느끼지만,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방문객은 포르투갈 여인에게는 그야말로 친구에 불과합니다. 지난 11년 동안 그미는 하루도 빠짐없이 연인 한 사람을 기다려 왔습니다. 고독한 삶을 견뎌내기 위하여 머리속에 하나의 ..

43 20전독문헌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