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박: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7. 처녀지, 자연을 정복하려는 남성 연구자의 의향에 대한 비판: 상기한 사항을 바탕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셸리는 프랜시스 베이컨이 『새로운 아틀란티스』에서 내세운 자연과학 중심주의에 반기를 들면서, 과학 기술 내지 기계주의적인 자연관이 인간의 보편적인 삶을 장악해서는 곤란하다고 주장합니다. 자연과학은 인간 삶을 보다 간편하게 해주는 수단일 뿐이지, 인간의 모든 학문적 예술적 영역을 지배하거나 통제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나아가 자연이 인간의 기술적 발명을 위한 원자재 내지는 처녀지로 작용해야 한다는 사고는 비판당해야 마땅하다는 것입니다. 이로써 메리 셸리는 과학 기술에 대한 우려감과 비판적 입장을 문학적으로 제기한 셈입니다. 아마도 과학 기술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