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영 3

서로박: 생태 공동체와 대아 유토피아 (5)

14. 제도냐, 의식이냐?: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우리는 어쩌면 서양의 제도가 아니라, 동양의 의식에 대해 어떤 더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주체 유토피아 역시 인간의 의식과 직결되는 개념입니다. 그것은 전체주의적 권력의 횡포에 대해 개개인이 자신의 고유한 권리를 지키려는 노력에서 출발합니다. 사람들은 지금까지 사회주의 체제를 통하여 개개인의 권리가 사회적으로 용납되기를 갈구하였습니다. 개인의 권리가 사회로 확장되면, 사회는 보편적 권리를 개인에게 환원되리라고 성급하게 믿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동구의 사회주의 실험에서 드러났듯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소수의 엘리트 관료들이 국가의 거대한 시스템을 인위적으로 작동시켰기 때문일 것입니다. ..

서로박: 에릭 에릭슨과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 심리 이론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3. 네 번째 단계, 균형 감각 (1): 슈타이너가 언급하는 초기 감각론의 네 번째 단계는 균형 감각입니다. 균형 감각이란 말 그대로 전후, 좌우, 상하의 균형을 잡기 위한 감각을 지칭합니다. 따라서 그것은 방향성의 감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균형 감각은 주어진 자연과의 조화로움이라는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입니다. 위와 아래를 인지하는 것은 시각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몸속의 균형 감각에 기인합니다. 우주인들은 우주에서 수직으로 똑바로 서려는 성향을 드러내는데, 이는 시각적 판단이 우주의 현실에서착오를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인간이 세상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시각, 청각 그리고 촉각 등을 모조리 활용해야 합니다. 갓 태어난 영유아를 생각..

5 사회심리론 2019.01.08

서로박: 자크 라캉의 이론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2. 라캉 이론의 문제점 (1): 지금까지 우리는 라캉의 이론을 초보적 수준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문학 이론상으로 고찰할 때 라캉의 이론은 후기 구조주의 및 해체 이론 등의 시각을 전폭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라캉은 무의식을 말하기 행위로써 도출해내어, 이를 동일한 차원에서 고찰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라캉의 이러한 태도는 몇 가지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예컨대 무의식의 공간은 언어 영역 내의 의사 전달에 불필요한 부분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 이전의 여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한 인간이 정치적인 이유로 인하여 혹은 심리적 이유로 인하여 말로써 모든 것을 발설하지 못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십시오, 자고로 성에 관한 사항을 타인에게 발설하는 것은 참으로 껄끄러..

30a Lacan 201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