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서로박: 소포클레스의 '아이아스'

소포클레스의 백 여 편 가운데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것은 불과 약 7편 정도입니다. 그 가운데 작품 「아이아스」는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기원전 약 500년 50년대 후반부에 작가는 이 작품을 집필한 것 같아 보입니다. 작품 집필의 간격으로 미루어 「아이아스」는 소포클레스의 오랜 숙고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소포클레스 초기 드라마에서 나타나는 “양분 구성 (Diptychon)”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소포클레스는 「아이아스」에서 그리스 비극의 핵심적 테마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이 직면하게 되는 실수, 그리고 이에 대한 후회 등을 지칭합니다. 작품은 인간이 처한 처절한 비극적 운명이 오로지 죽음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맨 처음 대목 (1행 - 13..

37 고대 문헌 2024.05.23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2)

1. 친애하는 여러분, 이 자리를 빌려 나는 동화 속에 담겨 있는 주제 그리고 모티브를 오로지 심리학적으로 설명해 볼까 합니다. 지난 시간에 설명한 바 있듯이, 동화에 관한 문학 이론은 아직도 완전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나아가 동화를 심리 분석의 차원에서 설명하려는 노력 역시 동화의 본질을 전적으로 규명해주지는 못합니다. 다만 우리는 동화의 기능과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심리적 연구 방법이 상당히 도움을 준다는 사실만을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의 강의는 책 속에 담겨 있는 내용만을 담고 있다고 단정하지는 말아주십시오. 진리의 파편은 때로는 언어 이전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니까요.  2. 고립 모티프: 대부분 어린이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으로서 우리는 은폐 욕구를 들 수 있습..

17 동화 2020.04.30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1)

1. 개념: “동화 (Märchen)” 혹은 “민담 (Volksmärchen)” 등의 개념은 그 자체 명확한 게 아닙니다. 보다 세밀한 개념은 그림 형제 (Brüder Grimm)에게서 유래합니다. 독일어 “메르헨 (Märchen)”은 요정 이야기로 번역되지만 반드시 요정이 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까 좁은 의미에서 동화는 전설, 우화, 수수께끼 등의 이야기들과 구분되며, 그 자체 마법의 내용을 담은 이야기로 국한될 수 있습니다. 그렇에 동화는 어린이를 전제로 할 뿐 아니라, 초기 낭만주의의 노벨레와 연결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화의 좁은 개념을 채택하기로 합니다. 동화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습니다: “동화는 시간과 장소를 넘어서 자유로운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기이하고 놀라운 민속적..

17 동화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