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브롭스키 2

서로박: (5) 보브롭스키의 '레빈의 방앗간'에 등장하는 다섯 개의 유령상에 관하여

(앞에서 이어집니다.) 9. 나오는 말 󰡔레빈의 방앗간󰡕에 나타난 유령의 상의 특성을 결론적으로 정리해 보자. 이는 작품의 주제와 직결되는데, 다음의 세 가지 사항으로 요약될 수 있다.  1. (마지막을 제외한) 네 개의 유령의 상은 “인간의 기억 속에는 인간의 인간에 대한 단순한 보복 행위만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우리는 누가 어떤 이유에서 잘못을 저질렀는가? 하는 법적 정당성 및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상황 등을 망각하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당했다’는 심리적 피해 의식만이 앞설 뿐이다. 이렇듯 피해는 또 다른 보복을 낳는다. “첫 번째 상 - 피해, 두 번째 상 - 복수, 세 번째 상 - 피해, 네 번째 상 - 잔인한 보복”이라는 구도를 생각해 보라. 문제는 누구든 간..

45 동독문학 2024.12.23

요한네스 보브롭스키

요한네스 보브롭스키 (1917 - 1965). 그는 속죄와 자기 반성으로서의 기억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겸허하고 경건한 독일 시인이었다.  요한네스 보브롭스키는 1917년 지금의 폴란드 지역인 라스텐부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모님은 침례교를 신봉하는, 약간 보수적인 분들이었습니다. 아버지는 프로이센의 관리였는데, 1928년에 쾨니히스베르크로 이주하였습니다. 보브롭스키는 그곳에서 김나지움에 다녔습니다. 보브롭스키는 여름이면 근처에 있는 메멜 강으로 휴가를 떠났는데, 그곳의 체험이 자신의 작품에 빼곡하게 반영됩니다. 리타우 지역에는 여러 곳에서 이주해온 다양한 인종들이 머물고 있었습니다.     예술사는 주로 회화, 조각 등에 관한 예술의 역사를 다루는 학문이다. 이 영역은 반드시 예술만의 역사를 다르지는 ..

9 문학 이야기 2019.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