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이어집니다.) 3. 본서의 집필 의도: 상기한 사항과 관련하여 본서의 집필 의도는 세 가지 사항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본서는 문학과 사회 심리학 사이에 도사린 벽을 허물면서, 호모 아만스의 사랑과 성과 관련된 심리 이론 및 실제 삶에 있어서의 사회 심리학적 문제점 등을 천착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이트 이후의 제반 (사회) 심리학의 이론 속에 도사린 특성과 하자 등을 요약 정리하는 게 급선무입니다. 특히 이 문제가 무엇보다도 학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까닭은 인간의 사랑의 성에 관한 제반 문제점들이 하나의 폐쇄적 학문 영역 속에서 다루어질 수만은 없기 때문입니다. 둘째로 본서는 사랑의 결핍 내지는 왜곡 현상이 여러 가지 다양한 왜곡된 행동 양상을 낳고 심리적 갈등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