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광식 2

서로박: (3)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

(앞에서 이어집니다.) 10. 고대 그리스인들의 성: 마지막으로 『성의 역사』 제 4권에 관해서 언급하려고 합니다. 철학자는 초기 기독교의 성의 윤리를 중점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성적 갈망에 대한 해석과 관련되는 물음이기도 합니다. 17세기 이래로 성은 수많은 발언을 낳게 하였으며, 지식의 물신 숭배적 대상이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1984년에 푸코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의 관심을 끄는 것은 성 문제를 논의할 때 개개인에게 유효한 어떤 방법론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과연 쾌락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 하고 묻습니다. 뒤이어 푸코는 고대 사회로 자신의 시각을 돌리고 있습니다.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 사람들은 자신의 성적 향유를 즐겼습니다. 그들의 육체와 사랑에 관한 자극을..

33 현대불문헌 2024.12.15

서로박: 웰스의 모던 유토피아 (5)

27. 세계 국가의 문제점 (1): 웰스는 19세기 후반부터 서서히 강성해지는 국가의 시스템에 관해서 깊이 숙고하였습니다. 나아가 자본주의의 경제 질서가 힘 있는 국가의 가장 절친한 조력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예리하게 간파하였습니다. 따라서 미래의 막강한 국가 체제는 수틀릴 경우 얼마든지 사악한 엘리트에 의해서 좌지우지될 수 있으며, 끔찍한 폭력으로써 인류를 말살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웰스는 제 1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러한 우려감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우려는 결국 그로 하여금 『모던 유토피아』를 설계하게 하였습니다. 이 작품에는 웰스가 추구하는 거대한 세계국가의 모습이 문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국가는 무조건 훌륭한 국가의 모델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세계 국가는 무제한..

36 현대영문헌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