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갑희 2

서로박: 자크 라캉의 이론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2. 라캉 이론의 문제점 (1): 지금까지 우리는 라캉의 이론을 초보적 수준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문학 이론상으로 고찰할 때 라캉의 이론은 후기 구조주의 및 해체 이론 등의 시각을 전폭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라캉은 무의식을 말하기 행위로써 도출해내어, 이를 동일한 차원에서 고찰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라캉의 이러한 태도는 몇 가지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예컨대 무의식의 공간은 언어 영역 내의 의사 전달에 불필요한 부분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 이전의 여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한 인간이 정치적인 이유로 인하여 혹은 심리적 이유로 인하여 말로써 모든 것을 발설하지 못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십시오, 자고로 성에 관한 사항을 타인에게 발설하는 것은 참으로 껄끄러..

30a Lacan 2018.07.12

(명저) 고정갑희의 "페미니즘은 전환이다."

고정갑희: 페미니즘은 전환이다. 북코리아 2016 고정갑희 교수님의 글은 매우 함축적입니다. 한 문장과 다음 문장 사이에는 수많은 내용이 숨어 있습니다. 독자를 위해서 세밀하게 부연설명해주면 좋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고정갑희 교수님은 보다 포괄적인 사고를 중시하고 이를 추적하는 것 같습니다. 글 속에는 저자의 성품이 반영되어 있는데, 아마도 평소에 유연함과 폭넓은 시각을 견지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집니다. 그렇다고 해서 세부적 사항에 있어서 많은 것들을 무시한다는 뜻은 절대로 아닙니다. 크리스테바의 이론이 세심하게 거론되는가 하면, 탈식민주의의 문제와 생태 페미니즘에 대해서도 관심을 넓혀나가고 있습니다. 한국 내에서의 영문학 교육의 문제를 다루는가 하면, 문학 비평과 텍스트를 실제 교..

1 알림 (명저) 201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