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림 (명저)

정지창 외: 한국 생명 평화 사상의 뿌리를 찾아서

필자 (匹子) 2023. 10. 16. 15:09

정지창 외: 한국 생명 평화 사상의 뿌리를 찾아서 , 도서 출판 창 2021.

 

 

목차

이 책에는 존경하는 정지창 교수님의 글이 다섯 편이나 실려 있습니다.

 

1. 정지창: 동학과 개벽운동

동학 사상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압권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정지창 교수는 동학 사상의 흐름에서 김범부의 사상 그리고 2권으로 간행된 김용옥의 동경대전을 높이 평가합니다. 


2. 정지창: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수운 최제선의 삶 그리고 그의 득도와 가르침 그리고 수운의 영향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최제우의 사상 소개를 넘어서서, 그 영향까지 타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놀라운 것은 논의를 개진하는 데 있어서 저자의 견해가 섞이지 않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동학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가령 정지창 교수는 김지하의 담시, "이 가문 날에 비구름" (1988)를 언급하면서, 백무산 시인의 시 "최제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3. 정지창: 해월 최시형의 생명사상

해월 최보따리의 사상을 이렇게 간명하게 서술한 글은 보기 드물 것입니다. 해월 최시형은 오늘날 인간 평등을 바탕으로 하는 생명사상과 양천(養天)을 이해하는 데 근본적 도움을 줍니다. 시천, 체천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사실 따지고 보면 최보따리의 양천일 것입니다.


4. 정지창: 동학에서 천도교로: 손병희의 3전론과 이돈화의 개벽문화운동

천도교가 동학의 정신을 하나의 "교단"으로 바로 세운 것은 의암 손병희의 노력 때문이었습니다. 천도교가 항일 운동과 민족의 정기를 비로 세운 것은 대단한 업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돈화의 일시적인 변절이 일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인철학"은 천도교 사상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5. 정지창: 김범부의 동방사상

김범부는 동학 사상 속에서 선(仙)이라는 한국 정신을 발견하려고 한 사상가입니다. 정지창 교수는 동학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서 "화랑외사" 그리고 "최제우론"을 꼽습니다. 문제는 김범부의 사상 속에 신라정신이 깃들어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화랑도 속에는 고대의 풍류도가 자리하지만, 이는 부분적일 뿐이라고 여겨집니다. 

 

6. 양승권: 홍암 나철과 대종교

대종교는 한국인의 민족 종교로서 천부경과 오래 전의 문헌 삼일신고의 사상에서 출발합니다. 양승권 교수는 한반도 고유의 역사철학을  언급하면서, 내외합일과 내성의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7. 강현욱: 1916년 빼앗긴 땅에서 피어난 미륵불 세상: 원불교와 소태산 대종사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에서 박중빈의 깨달음으로 시작됩니다. 자립과 연대의 협동조합으로서, 네 가지 은혜를 중시합니다. 1. 천지은, 2. 부모은, 3. 동포은, 4. 법률은. 여기서 법률이란 일상의 법과는 달리 모든 올바른 가르침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삶의 가치는 보은의 고리를 어떻게 이어나가는가? 에 따라 결정됩니다. 


8. 이기상: 사유와 삶의 방식을 바꾼 철학자 다석 류영모

다석 류영모는 한국 사상의 토대를 갖춘 사상가입니다.  서양의 형이상학을 부정하기 위해서 "태양을 꺼라!"고 선언한 다음, 나와 너의 사이, 다시 말해서 우리를 연결시켜주는 고리가 무엇인지를 치밀하게 추적하였습니다. 그는 물질 세계의 자아를 몸나로 설명하고, 고유한 정신 존재로서의 자아를 얼나라고 표현했습니다. 이기상 교수는 서양 사상의 존재론적 특징을 류영모 사상의 관계론의 특징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9. 손영호: 삶 속에서 진리를 추구한 실천적 사상가 함석헌

류영모의 제자 함석헌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사상가의 길을 걸었습니다. 함석헌은 인간 개개인이 서로 협동하여 세상의 씨알로 거듭나서 놀라운 결실을 맺기를 기원하였습니다. 그의 씨알 사상은 인간 존중과 협동 그리고 평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 책에 실린 글 가운데 정지창 교수의 첫 번째 글 "동학과 개벽 운동" 그리고 세 번째 글 "해월 최시형의 생명 사상"을 가장 중요하게 여깁니다. 왜냐면 그것은 동학 사상의 기원 그리고 근본적 사상 그리고 그 영향을 가장 정확하게 지적하기 때문입니다. 안타까운 것은 동학 혁명을 이끌었던 전봉준에 관한 사항이 빠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테마는 나중에 이어지는 세미나에서 재론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