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고대 문헌

서로박: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스' (1)

필자 (匹子) 2022. 4. 16. 09:17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오레스테스”는 3부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품 “오레스테스”는 원래는 4개의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아가멤논”, “무덤가의 희생자들” “복수의 여신들” 그리고 “프로테우스”). 여기서 마지막의 “프로테우스” 편은 앞의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씌어졌는데, 안타깝게도 오래 전에 유실되어 오늘날 전해지지는 않는다. 세 편의 작품들은 제각기 네 개의 장면으로 나누어지며, 이 장면들은 사건의 진행상 평행을 이루고 있다. 극작품은 기원전 458년에 아피드나 출신의 크세노클레스 (Xenokles)에 의해서 맨 처음으로 상연되었다고 한다.

 

일단 줄거리를 간단하게 요약해 보자. 트로야에서 귀환한 왕, 아가멤논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그는 오랫동안 그리스를 떠나 있었으므로, 그의 아내, “클뤼티메스트라”는 아이기스토스와 살고 있었다. 아이기스토스는 남편의 사촌 동생이었다. 그런데 클뤼티메스트라는 하나의 계략을 꾸민다. 즉 남편을 살해하고, 정부인 아이기스토스를 권좌에 올려놓는다. 아들 오레스테스는 이러한 끔찍한 사건을 예의주시한다. 아버지의 죽음은 너무나 안타깝다.

 

결국 오레스테스는 복수극을 저지른다. 즉 어머니, 클뤼티메스트라 그리고 5촌 아저씨인 아이기스토스의 살해가 바로 그 복수극이었다. 오레스테스는 존속 살해범으로 몰린다. 복수의 여신들, 에리뉘엔들은 오레스테스를 찾아 나선다. (상기한 복수의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자주 거론된 바 있다. 호메로스 (Homer)는 “오디세이”에서 이에 관해 다룬 바 있다. (1권 29행, 3권 255행 이하, 4권 512행 이하, 11권 397행 이하). 나아가 아트리덴 왕가의 “귀향 이야기 (Nostoi)”에서도 이에 관해 언급되고 있다.)

 

맨 처음 아이기스토스는 아가멤논을 살해한다. 전쟁에서 돌아온 왕과 그의 부하들은 만찬에 참석하여, 거나하게 술에 취해 있었는데, 아이기스토스는 이들을 모조리 죽여버린다. 클뤼티메스트라는 “오디세이”에서 노비로 데리고 온, 트로야의 공주이자 예언녀인 카산드라를 살해한다. (이 내용은 아이스킬로스의 극작품에만 등장하는 것은 아니다. 시인 핀다로스 Pindar는 피티아 제 11편에서, 스테시코로스 Stesichoros는 “오레스테스”에서 이를 자세하게 묘사한 바 있다. 두 작가들은 특히 살인을 저지르게 된 내적 동기를 집요하게 추적한다. 스테시코로스의 경우 아가멤논은 자신의 딸, 이피게니를 제단의 제물로 바친 적이 있다.

 

그렇기에 클뤼티메스트라는 딸의 목숨을 잃게 한 남편, 아가멤논을 저주하며, 직접 그를 살해한다. 나중에 오레스테스는 자신의 친어머니를 어머니를 살해한다. 살해 동기는 남편 살해에 대한 정당한 보복이라는 것이다.) (가령 신 아폴론은 이를 명령했으며, 복수의 여신들, 에리뉘엔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라는 뜻에서 오레스테스에게 활을 선물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사건의 그럴 듯한 이유로 다루어지고 있다. 죄의 뒤엉킴 그리고 어쩔 수 없는 처벌 등은 아이스킬로스의 극작품의 극적인 사건으로 나타난다.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스”가 그리스 비극에서 수준 높은 작품으로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특정한 주제를 포괄하는 극적 일원성에 기인한다. 그래, 아이스킬로스는 오레스테스 사건 자체를 세밀하게 다루면서, 극작품의 기본적 골격을 바로 세워놓았다. 가령 “아가멤논”과 “무덤가의 희생자들”은 정확히 어떤 병렬적 구조로 직조되어 있다. 전자에서는 왕녀 (클뤼티메스트라)가 정부 (아이기스토스)와 놀아나서 아가멤논과 카산드라를 죽이려고 하고, 후자에서는 왕자 (오레스테스)와 공주 (엘렉트라)는 아버지를 죽인 그들의 어머니와 그미의 정부 (情夫)를 죽이려 한다.

 

다시 말해 전자의 경우 “전쟁에서 승리한 뒤 의기양양하게 귀향한 아가멤논과 그의 노예, 카산드라”는 아직 권력을 지니지 않은 아내에 의해 살해되고, 후자의 경우 권력 찬탈자, 아이기스토스와 클뤼티메스트라는 아직 힘없는 아들에 의해 살해당한다. 남자가 먼저 살해되고, 그 다음에 여자가 살해되는 것도 병렬적이다. 두 사건 이후에 재판이 나란히 거행되는 것도 병렬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