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노프스키 3

박설호: (2) 지배 이데올로기, 혹은 해방으로서의 성(性)

(앞에서 계속됩니다.) 3.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라이히의 비판 프로이트는 충동의 억압과 충동의 포기란 오래 전에 등장한 죄의식의 결과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로써 그는 간접적으로 지금까지의 권위주의적이고 강제적인 성 윤리를 정당화 내지는 합법화시켜준 셈이다. 왜냐하면 강제적 성 윤리에 의하면 성은 반드시 억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죄의식을 원시시대에 있었던 부친 살해 사건으로 설명하고 있다. 오이디푸스가 부친, 라이오스를 살해하고 어머니 이오카스테를 차지하려는 욕구는 비단 역사적 사건으로 이해될 뿐 아니라, 오늘날 사회 조직, 도덕적 금기 그리고 종교에서도 유사한 패러다임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각주: Sigmund Freud: Totem und Tabu, in: Gesamme..

5 사회심리론 2025.04.19

보헤미안 비베스의 "야만적인 소네트"

친애하는 Y, 보헤미안 비베스 (Bohemian Vibes)라는 시인을 들어보셨는지요? 비베스가 누구인가요?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가명이라는 게 밝혀집니다. 그렇지만 보헤미안 비베스는 참으로 멋진 이름이로군요. 라틴어로 “비브로 (vibro)”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닙니다. “흔들다”, “부들부들 떨다” “번쩍거리다” 등을 의미하지요. 집시의 삶을 살아가는 자가 육체적 사랑을 나눌 때에 부들부들 떨며 오르가슴을 느낀다는 말인데, 그 자체만으로 우리를 미소 짓게 만드는 군요.^^ 오늘 보헤미안 비베스의 재미있는 시 한 편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시의 제목은 “야만적인 소네트 (Barbarisches Sonett)”입니다. 일견 울라 한 (Ulla Hahn)의 「고상한 소네트 (Anständiges ..

21 독일시 2020.07.27

서로박: 보그다노프의 '붉은 별' etc. (1)

1. 20세기 초의 러시아의 사회적 변혁: 친애하는 B, 오늘은 보그다노프의 유토피아 소설 두 편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미리 말하자면 화성에서 살아가는 미래 인간의 삶을 묘사하고 있으며, 프롤레타리아 문화의 근본 문제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작품에 관해 언급하기 전에, 일단 보그다노프가 살았던 러시아의 현실에 주목해보기로 하겠습니다. 20세기 초의 러시아는 사회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19세의 유럽의 수준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거대한 나라는 놀라운 속도로 사회적 변혁을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페테르 1세는 지금까지 낙후한 경제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현대화의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등한시한 산업의 정책이 강도 높게 추진되었던 것입니다. 이로써 ..

31 동구러문헌 202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