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동화 14

빌헬름 하우프의 거짓 왕자

1. 빌헬름 하우프: 흔히 독일 동화 하면, 우리는 “그림 형제들 Brüder Grimm”를 떠올립니다. 그렇지만 독일 예술 동화의 토대를 다진 작가로서 요한 K. A. 무제우스 그리고 빌헬름 하우프를 예로 들곤 합니다. 특히 빌헬름 하우프는 25년이라는 짧은 생애 동안에 놀랍고도 재기발랄한 동화를 남겼습니다. 빌헬름 하우프는 1802년 슈투트가르트에서 공무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하우프의 아버지는 궁정비서로 일하다가, 슈투트가르트에서 장관 보조의 업무를 맡았습니다. 1809년 아버지가 사망한 다음에 하우프의 어머니는 네 명의 자식들을 데리고 튀빙겐으로 이주하였습니다. 1820년부터 1824년 사이에 튀빙겐 대학교에서 장학생으로 신학을 공부하여 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빌헬름 하우프는 튀빙..

17 동화 2020.10.10

빌헬름 하우프: 황새가 된 칼리프

“황새가 된 칼리프”는 독일의 동화 작가 빌헬름 하우프 (Wilhelm Hauff, 1802 - 1827)의 연작 동화 『카라반』에 실린「칼리프 두루미에 관한 이야기Die Geschichte von Kalif Storch」의 주인공이다. 칼리프 차지드와 그의 관리 만소르는 시장터에서 우연히 가루약을 구입한다. 가루약을 먹으면, 동물로 변신하여 동물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었다. 대신에 어떠한 경우에도 웃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두 사람은 황새로 변신했지만, 웃음을 터뜨리는 바람에 “무타보르mutabor”라는 주문을 까먹는다. 이로 인하여 그들은 더 이상 인간으로 되돌아올 수 없게 된다. 알고 보니 모든 것은 마술사 카쉬누르의 계략이라는 것을 알아차린다. 칼리프의 권력을 차지한 것은 마술사의 아들이었..

17 동화 2020.09.01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2)

1. 친애하는 여러분, 이 자리를 빌려 나는 동화 속에 담겨 있는 주제 그리고 모티브를 오로지 심리학적으로 설명해 볼까 합니다. 지난 시간에 설명한 바 있듯이, 동화에 관한 문학 이론은 아직도 완전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나아가 동화를 심리 분석의 차원에서 설명하려는 노력 역시 동화의 본질을 전적으로 규명해주지는 못합니다. 다만 우리는 동화의 기능과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심리적 연구 방법이 상당히 도움을 준다는 사실만을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의 강의는 책 속에 담겨 있는 내용만을 담고 있다고 단정하지는 말아주십시오. 진리의 파편은 때로는 언어 이전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니까요.  2. 고립 모티프: 대부분 어린이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으로서 우리는 은폐 욕구를 들 수 있습..

17 동화 2020.04.30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1)

1. 개념: “동화 (Märchen)” 혹은 “민담 (Volksmärchen)” 등의 개념은 그 자체 명확한 게 아닙니다. 보다 세밀한 개념은 그림 형제 (Brüder Grimm)에게서 유래합니다. 독일어 “메르헨 (Märchen)”은 요정 이야기로 번역되지만 반드시 요정이 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까 좁은 의미에서 동화는 전설, 우화, 수수께끼 등의 이야기들과 구분되며, 그 자체 마법의 내용을 담은 이야기로 국한될 수 있습니다. 그렇에 동화는 어린이를 전제로 할 뿐 아니라, 초기 낭만주의의 노벨레와 연결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화의 좁은 개념을 채택하기로 합니다. 동화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습니다: “동화는 시간과 장소를 넘어서 자유로운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기이하고 놀라운 민속적..

17 동화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