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훈 3

서로박: (1) 안데르센의 '오로지 바이올린 연주자'

1.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Hans Christian Andersen, 1805 – 1875)은 「인어공주」, 「성냥팔이 소녀」, 「미운 오리새끼」 그리고 「나이팅게일」 등의 동화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덴마크 작가입니다. 그러나 안데르센이 시와 소설을 주로 발표했다는 사실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가 남긴 다섯 편의 주옥같은 장편 소설 가운데 하나를 골라 소개할까 합니다. 이 작품의 제목은 『오로지 바이올린 연주자 Kun en spillemand』(1837)입니다. 소설은 그의 나이 32세 때 코펜하겐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참고로 안데르센의 동화에 관한 좋은 논문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성훈: 안데르센의 동화 "미운 오리새끼"에 나타난 콤플렉스 문제, in: 독어 교육, 60권, 201..

39 북구문헌 2024.11.24

서로박: 생텍쥐페리의 '작은 왕자'

어른을 위한 동화, 『작은 왕자 Le petit Prince』는 1943년에 간행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어린 왕자로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목은 자구적으로 그리고 주제 상으로 잘못된 번역입니다. 왕자를 어리다고 표현하면, 이는 잘못입니다. 왕자는 어쩌면 나이 많지만 신체가 자그마한 인간이라고 규정해야 옳습니다. 동화의 저자는 프랑스의 비행사이자 소설가인 생텍쥐페리 (1900 - 1944)입니다. 저자는 어린 왕자의 시각을 통하여 자신의 유년기의 내밀한 감정을 때로는 솔직하게 때로는 은근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동화는 작가의 놀라운 사상적 깊이 그리고 섬세한 감정을 작은 왕자를 통해서 표출시킨 셈입니다. 작은 왕자는 자신의 내면 깊이 감추어둔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서 주위 환경을 역으로 이용하고 ..

33 현대불문헌 2021.05.01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2)

1. 친애하는 여러분, 이 자리를 빌려 나는 동화 속에 담겨 있는 주제 그리고 모티브를 오로지 심리학적으로 설명해 볼까 합니다. 지난 시간에 설명한 바 있듯이, 동화에 관한 문학 이론은 아직도 완전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나아가 동화를 심리 분석의 차원에서 설명하려는 노력 역시 동화의 본질을 전적으로 규명해주지는 못합니다. 다만 우리는 동화의 기능과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심리적 연구 방법이 상당히 도움을 준다는 사실만을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의 강의는 책 속에 담겨 있는 내용만을 담고 있다고 단정하지는 말아주십시오. 진리의 파편은 때로는 언어 이전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니까요.  2. 고립 모티프: 대부분 어린이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으로서 우리는 은폐 욕구를 들 수 있습..

17 동화 202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