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21세기의 현실을 고려하면서 유토피아를 비판하였다. 오늘날 사람들은 월러스틴에 의하면 토마스 모어에서 비롯하는 유토피아의 사고를 파기하고, 그 대신에 “유토피스틱스”의 사고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미리 말하자면 신자유주의 세계 시스템에 대한 월러스틴의 비판은 원론적으로 동의할 수 있지만, 그의 전문용어는 어떤 하자를 드러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유토피스틱스”는 근본적으로 고찰할 때 유토피아와 동어반복의 의미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유토피아는 월러스틴에 의하면 없는 장소로서의 종교적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때때로 정치적 단합이라는 공동적 행위를 위해 활용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유토피아의 요구 사항은 정치적 실천의 과정에서 정반대로 전복되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