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애극 2

발터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기원" (2)

에스파냐에 있는 벤야민의 묘비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기원을 철학적으로 상세히 규명해 보도록 하자. 벤야민은 알레고리 개념을 수미일관 추적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간과했던 “기술적 용어 (terminus technicus)”에 자신의 고유성을 부여하는 작업일 뿐 아니라, 알레고리 자체가 결국 인식 이론적 카테고리로 화하고 있다. 자고로 인간의 제한된 주관적 인식 능력 그리고 인식될 수 없는 객관적 진리의 내용 사이에는 분명히 간극이 있다. 이는 칸트 (Kant) 이후로 이어진 철학적 전통이기도 하다. 그러나 벤야민의 비평의 개념은 이러한 간극에 대해 하나의 이의를 제기한다. 인식은 무언가 지향하려는 소유와 같은 무엇으로서, 의향 없는 존재로서의 진리로부터 상당히 제한 당하고 있다. 이 경우 진리는 인식..

25 문학 이론 2020.07.06

발터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기원" (1)

발터 벤야민 (1892 - 1940)의 "독일 비애극의 기원"의 전편은 1925년에 씌어졌고, 1928년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그는 본서를 교수 자격 취득을 위해서 집필하였으나, 거부당했다. (책의 첫 부분인) 인식론적으로 핵심이 되는 “인식 비판의 서언”은 1916년 발표된 언어학에 관한 논문 「언어 전체에 관하여 그리고 인간의 언어에 관하여」를 바탕으로 인식 이론 및 비평의 어떤 이론을 발전시킨 것이다. 이러한 이론은 결국 바로크의 비애극에 적용되고 있다. 비평이란 -벤야민의 규정에 의하면- 예술 작품의 역사철학 및 인식 이론의 차원을 보여주어야 한다. 따라서 그것은 작품에 대한 하나의 무효 선언과 같다. 왜냐하면 비평은 작품 분석이라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서 다음과 같은 과업을 지니기 때문..

25 문학 이론 20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