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환경철학회 엮음: 미래를 위한 환경 철학, 연암서가 2023. 기후 위기와 생태계 문제는 오늘날 인류와 자연을 위협하는 최대의 현안과 같습니다. 철학 전공자들은 깊은 사고로 명징하게 천착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위한 환경 철학"에 실린 문장들은 버릴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1. 김완규 (호서대): 왜 환경철학인가? 이 글은 환경 윤리와 환경 철학의 구조적 문제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저자는 사람들이 환경 문제의 본질적 원인에 소홀하고, 부분적 결과에 집중한 나머지 미봉책만 난무한다는 점을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2. 김민수 (동서울대): 고중세의 인간중심주의: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목적론적 자연법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목적론적 자연법은 나중에 인간중심주의의 관점과 연결되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