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시 3

서로박: (7)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참고 문헌 김남시: 역사의 기관차. 역사를 보는 발터 벤야민의 시각, in: 비교문학, 2013, 60권, 183 – 209.김영룡: ”지금 이때“와 남은 시간. 발터 벤야민의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에 나타난 성스러운 구원의 시간 연구, 실린 곳: 카프카 연구 34권 2015, 168 – 187.마르크스, 뮌처: 박설호 편역, 마르크스, 뮌처, 혹은 악마의 궁둥이, 에른스트 블로흐 읽기 2, 울력 2012.박설호 2: 박설호, 자연법과 유토피아, 에른스트 블로흐 읽기 3, 울력 2014.벤야민, 발터: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외, 최성만 역, 길 2008, 327 – 350.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문학과 지성사 2001.윤미애: 벤야민의 아우라에 관한 연구, 독일문학, 71..

25 문학 이론 2024.09.04

서로박: (5)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5. “가능한 구원의 실험실”로서의 세계. 프랑크푸르트학파는 1960년 초반에 벤야민의 역사적 진보에 대한 논평을 언급하면서, 블로흐가 진보적 낙관주의를 과도하게 맹신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렇지만 근본적으로 역사에 대한 벤야민과 블로흐의 견해가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는 것은 아닙니다. 벤야민은 1940년 무렵에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진보라는 개념은 파국의 이념 속에 토대를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역사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파국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다가오는 미래가 아니라, 그냥 우리 앞에 주어져 있을 뿐이다.” (Benjamin, GS. Bd. 1/2: 683). 아도르노는 벤야민의 발언을 염두에 두면서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어떠한 우..

25 문학 이론 2024.05.07

서로박: 크라카우어의 영화 이론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 (S. Kracauer, 1889 - 1966)의 "영화의 이론. 물리적 현실의 구조 (Theory of Film. The Redemption of Physical Reality)"는 1960년 뉴욕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그의 영화 이론은 이상주의적 미학 및 형식주의적 미학으로부터 벗어나고 있다. 크라카우어는 필름을 (어떤 가시적인, 물질적으로 구체화된 관련성을 밝히는) 매개체로 규정한다. 이러한 “물질적” 영화 이론은 20세기 영화 비판 및 영화에 관한 수많은 에세이 등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인데, 그의 글들은 "영화관(1974)", "대중의 장식품"(1963) 등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크라카우어는 시대의 스쳐 지나가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되지 않은 표면적 현상을 포착하려 한다..

16 독일 영화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