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배금주의 비판, 아이티 항쟁과 프랑스 혁명. 니콜라스 기옌의 시를 중심으로 (앞에서 계속됩니다.) 6. B: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니, 모든 혁명의 근원에는 배우지 못하고 가지지 못한 사람들의 저항이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지는군요. A: 바로 그 점이 중요해요. 16세기 독일에서 발발한 농민 혁명 역시 가난한 농민을 착취하는 가렴주구로 인해서 촉발되었습니다. 토마스 뮌처Thomas Müntzer의 사상은 저항이 없으면, 도저히 생각될 수 없습니다. 혁명은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게 아니라, 오로지 저항의 몸부림을 통해서 아래에서 위로 향해 나아가는 운동이지요. B: 이제 콩고 아이티 항쟁과 프랑스 혁명 사이의 관계를 말씀해주시겠습니까? A: 프랑스 혁명의 구호는 주지하다시피 -프랑스 삼색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