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염 2

서로박: (4) 신화와 유토피아, 일치성과 불일치성

(앞에서 계속됩니다.) 16. 신화 수용 역사에 관한 비교 연구: 물론 우리는 여기서 한 가지 예외적 사례를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신화 연구 자체가 아닌, 이후의 시대에 나타난 신화 수용사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예외사항입니다. 우리는 신화 수용의 역사 연구에서 그 수용 시점의 시대정신과 결부된 신화의 수용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통시적으로diachronisch” 비교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특정한 시대에 왜 특정한 신화가 유독 활발하게 수용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검토하면, 우리는 신화가 특정한 시대에 끼친 영향 그리고 신화와 주어진 현실 사이의 상호관계를 도출해낼 수 있습니다. (Jørgensen: 301). 이를테면 왜 유독 괴테의 시대에 프로메테우스의 신화가 활발히 수용되었으며 헤라클레스 ..

서로박: 황금의 시대와 유토피아

1. 황금의 시대: 친애하는 L, 맨 처음 우리는 “신화에 반영된 유토피아의 상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으며, 유토피아 연구에서 어떠한 척도로 규정될 수 있는가?”하는 물음과 봉착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신화와 유토피아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사항입니다. 고대 사람들도 더 나은 세상에 관한 꿈을 꾸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동양의 대동 (大同)에 관한 사고 그리고 무릉도원의 상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서양의 경우 황금의 시대, 아틀란티스 그리고 성서의 에덴동산 등에 관한 신화가 범례로 채택될 수 있습니다. 헤시오도스는 이미 기원전 700년경에 황금의 시대에 관한 신화를 언급했습니다. 이에 관한 이야기는 가장 오래된 상으로서 고대의 문학 작품에서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황금의 시대에 관한 이야기는 ..

26 유토피아 20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