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 3

서로박: 프로이트의 인간 모세와 유일신 종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종교 심리학의 저서는 1939년에 간행되었다. 프로이트는 초기 시절에 제자 어네스트 존스 (E. Jones), 오토 랑크 (O. Rank) 테오도르 라이크 (Th. Reik) 등과 함께 “이드” 심리학을 연구하면서, 특히 신화, 전설 그리고 동화 등에 관심을 기울였다. 말하자면 그는 자신의 이론에 대한 증명 사항을 그러한 영역에서 찾으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집단적인 무의식의 판타지의 결과로서 종교 시스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예컨대 존스는 포이어바흐의 명제, “인간이 종교를 만든다”를 받아들여, 신화 연구에 몰두했던 것이다. 프로이트 역시 다음과 같이 기술한 바 있다. 즉 “종교의 현상은 오로지 개인의 잘 알려진 노이로제 증상이라는 틀에 의하면 다음과..

23 철학 이론 2020.12.22

서로박: 자크 라캉의 이론 (2)

6. 편지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그렇다면 편지의 내용은 무엇일까요? 추측컨대 왕비가 비밀리에 내연의 남자로부터 사랑의 고백을 받았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가설에 불과합니다. 편지의 내용은 끝내 명확히 밝혀지지 않습니다. 에드거 알란 포는 작품 집필 시에 극작품 한 편을 참고했습니다. 그것은 프랑스의 극작가 프로스퍼 J. 크레비용 (Prosper Jolyot Crebillon, 1674 – 1762)의 비극 「아트레우스와 티에스테스 Atrée et Thyeste」(1707)입니다. 작품의 내용은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지만 그래도 언급하는 게 라캉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작품은 그리스 신화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Vapereau: 545). 아트레우스 왕은 왕비의 편지를 ..

30a Lacan 2018.07.12

자크 라캉: 팔루스의 의미 (2)

(계속 이어집니다.) 이러한 무지는 표현의 기술적 의미에서 잘못된 인식이라는 의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누군가 타인에 의해서 현혹당할 때는 그러한 의심은 더욱 강화될 것입니다. 어째서 인간의 성적 쾌락을 누리는 행위가 단 하나의 방식의 짝짓기로 규정될 수 있을까요? 성관계는 가령 롱고스Longos의 소설 『다프니스와 클로에』에서 묘사된 바 있듯이 나이든 노파의 주문에 따라 성년식을 치르는 남녀 관계와 반드시 일치되지는 않습니다. 그리하여 몇몇 연구자들은 팔루스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습니다. 즉 팔루스는 시기적으로는 성을 거부하는 방어기제의 효과로 작용하며, 팔루스라는 객체가 상정하는 기능은 하나의 병적인 증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게 구체적으로 어떤 증상인가? 하고 물을 ..

30a Lacan 201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