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한국 문학
(명시 소개) 김선우의 시 '입설단비'
필자 (匹子)
2024. 9. 3. 16:19
입설단비 (立雪斷譬)
김선루
2조(二祖) 혜가는 눈 속에서 자기 팔뚝을 잘라 바치며
달마에게 도(道) 공부하기를 청했다는데
나는 무슨 그리 독한 비원도 이미 없고
단지 조금 고적한 아침의 그림자를 원할 뿐
아름다운 것들의 슬픔을 아는 사람을 만나
밤 깊도록 겨울 숲 작은 움막에서
생나뭇가지 찢어지는 소리를 들으며
그저 묵묵히 서로의 술잔을 채우거나 비우며
다음날 아침이면 자기 팔뚝을 잘라 들고 선
정한 눈빛의 나무 하나 찾아서
그가 흘린 피로 따뜻하게 녹아 있는
동그라한 아침의 그림자 속으로 지빠귀 한 마리
종종 걸어들어오는 것을 지켜보고 싶을 뿐
작은 새의 부리가 붉게 물들어
아름다운 손가락 하나 물고 날아가는 것을
고적하게 바라보고 싶은 뿐
그리하여 어쩌면 나도 꼭 저 나무처럼
파묻힐 듯 어느 흰눈 오시는 날
마다 않고 흰눈을 맞이하여 그득그득 견디어주다가
드디어는 팔뚝 하나를 잘라들고
다만 고요히 서 있어 보고 싶은 것이다
작은 새의 부리에 손마디 하나쯤 물려주고 싶은 것이다
오늘날 "께딜음"을 위해서 자신이 몸을, 몸의 일부를 바칠 수 있는 분이 몇 분이나 될까? 여기서 께달음이란 나라의 독립을 위하는 과업일 수 있고,, 진리를 추구하는 일일 수 있으며, 신의 정신을 체득하는 일일 수도 있다. 예술가에게는 명작을 남기려는 지고의 소명 의식을 수도 있다. 어쨌든 우리는 한 가지 목표를 위해서 전력 투구하는 분들을 도인이라고 명명한다.